|
바른사회 관계자는 “후원금이 끊긴 지 2년이 다 되가는 상황에서 후원금이 고정적으로 들어온다는 보장이 없어 부득이하게 사무실 규모를 줄일 수밖에 없었다”며 “그동안 직원 규모와 급여 등을 줄이며 어떻게든 버텨왔는데 내년에는 어떻게 될지 존폐조차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
중도보수를 표방하며 깃발을 올렸던 ‘바른사회’가 날개 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참여연대의 대항마’로 발돋움하겠다는 계획은 이미 힘을 잃은 지 오래다. 촛불 정국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을 맞이한 데다 조기 대선을 통해 새 정부가 들어서자 자금 사정에 큰 어려움을 겪기 시작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002년 3월 12일 중도보수를 표방하며 만들어진 바른사회는 박근혜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국내 치대 보수시민단체로 급부상했다.
바른사회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반하는 활동을 감시하겠다”는 명목 아래 2004년 국가보안법 폐지 및 행정수도 반대, 2007년 고교 평준화 반대와 KBS 수신료 인상 저지에 앞장서기도 했다. 바른사회 출신 대표 인물로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전 바른사회 정책실장) 등이 있다.
바른사회는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지난해 7월 신고리 5·6호기 원전 중단과 올해 1월 최저임금 인상 현안에 반대하는 전문가 연속토론회를 개최하며 신자유주의 보수 세력의 목소리를 대변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활발히 열리던 바른사회 주최 토론회도 지난 5월 ‘문재인 정부 1년 평가’ 이후 자취를 감췄다.
|
바른사회의 보폭이 좁아진 데는 탄핵정국과 조기 대선을 거치는 과정에서 열악해진 재정을 이유로 꼽을 수 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국정농단 사태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청와대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등이 친정부 성향 뉴라이트(New right·신우파) 단체들을 지원하며 ‘관제데모’한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자 전경련 등은 ‘어버이연합’이나 ‘박사모’ 등 뉴라이트 단체에 대한 지원을 사실상 중단했다. 바른사회도 이 칼날을 피해 갈 수 없었다. 복수의 관계자들에 따르면 바른사회가 전경련으로부터 지원받은 금액은 많을 땐 연간 약 10억원을 웃돌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 지원금이 재정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바른사회 입장에서는 재정 구조에 치명타를 입었다. 가장 많을 때는 20명 안팎이던 사무국 상근 직원들이 사직했고 이어졌고 회의실과 세미나실 등을 갖췄던 북창동 사무실도 임대료를 감당하기 어려워 결국 비워줘야 했다.
바른사회는 현재도 온라인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정기·일시후원자를 모집하고 있다. 지난해 3월에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회원과 후원자에게 한 달에 3000원씩 모금을 받는 ‘3000 후원인’ 캠페인을 시작했지만 참여가 저조해 사정은 여전히 열악하다.
바른사회 관계자는 “이메일과 뉴스레터 등을 받는 회원 수가 10만명 가량 되지만 후원금을 내는 회원은 1000명도 채 안 된다”며 “요즘 보수단체에 후원하면 계좌 추적까지 당한다는 말까지 돌다 보니 모금을 통한 자금 조달 통로에도 어려움이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 관계자는 “그렇다고 무작정 크라우드펀딩(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 대중에게 자금을 모으는 방식)을 하거나 특정 세력의 돈을 쫓다 보면 단체 성격 자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