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는 처음 수술이라는 말에 생업에 지장이 생길까 수술을 주저했지만 1~2일 내에 퇴원이 가능하다는 말에 용기를 냈고, 수술을 잘 마쳐 이틀 만에 일상으로 돌아갔다.
|
또한 1~2cm 정도의 작은 절개를 통해 관절내시경 수술이 진행되는 만큼 기존 절개술에 비해 출혈이 적고, 후유증 발생의 위험도 최소화했다. 그러한 까닭에 만성질환 환자도 부담 없이 수술이 가능하며, 빠른 일상 복귀가 가능하다.
사실 관절내시경이 국내에 처음 도입된 시기는 1980년대 말경으로, 꽤 오랜 시간 발전을 거듭해온 수술법이다. 초기에는 몇몇 대학병원에서만 이용했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여러 병원에서 무릎관절을 중심으로 관절내시경 수술이 활성화됐다. 최근엔 의료 기술의 발달로 무릎뿐만 아니라 어깨, 팔꿈치, 손목, 발목, 발가락 등의 관절질환 수술 시 활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무릎은 관절내시경 수술이 가장 흔한 부위로 반월상연골파열, 십자인대파열,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질환 치료에 내시경이 활용된다. 특히 A씨와 같이 반월상연골이 상당 부분 파열된 경우 파열 부위를 방치하게 되면 회복이 되지 않고 더 찢어지게 된다. 이는 퇴행성 관절염까지 이어질 수 있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봉합술, 절제술, 이식술 등을 통해 치료가 진행된다.
이밖에도 관절내시경 사용 시 무릎관절의 연골판 이식이나, 유리체 제거, 종양 치료 등에도 쓰이기에 팔방미인인 치료법이라 하여도 손색이 없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관절내시경이 다른 치료와 동반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관절 내부를 확인하면서 수술을 진행해야 하는 만큼 높은 숙련도와 술기를 지닌 의료진을 찾아야 한다는 점이다. 때문에 병원 선택 시 의료진이 관절내시경에 대한 충분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지, 해당 분야의 연구 경험이 충분한지 꼼꼼히 확인할 것을 권장한다.
수술 외에도 한 가지 더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사후관리이다. 가능한한 무릎에 손상이 갈 수 있는 동작은 지양하고, 스트레칭을 생활화하여 몸의 긴장을 줄여주는 것이 좋다. 무릎의 기능이 일부 개선되었다면 무리가 되지 않는 선에서 운동을 지속하여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고 하는 것도 무릎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