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뉴딜 탄력 받나…10명 중 6명 "원전 축소·신재생 확대해야"

한광범 기자I 2020.09.14 05:00:00

이데일리-엠브레인, 文정부 경제정책 여론조사
매우 찬성 21%·약간 찬성 40% Vs 반대 26%
미래 에너지 바이오 33%, 태양광 29%, 원전 12%

[세종=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한 달만인 2017년 6월 부산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 참석해 ‘신규 원전 건설계획 전면 백지화’ 등 소위 ‘탈(脫)원전’으로 불리는 에너지전환정책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

3년이 지난 지금도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둘러싼 논란은 현재 진행형이다. 찬성 측은 “탈원전·신재생에너지 확대는 환경보호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란 입장이다. 반면 반대 측은 “관련 산업을 쇠퇴시키고 결국 에너지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6명(60.8%)은 정부의 원전 축소·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에너지전환 정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는 26.0%에 그쳤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꾸준히 추진해온 탈원전·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 유권자가 지난 4월 서울 부암동 주민센터 앞에서 열린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국회의원 후보의 거리 유세에서 ‘원전 일자리 지키기’ 문구를 들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13일 이데일리가 여론조사기관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지난달 14~25일 전국 만 25~59세 남녀 1000명(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60.8%로, 반대 의견 26.0%를 크게 앞질렀다. ‘매우 찬성’이 21.2%, ‘약간 찬성’이 39.5%였고, ‘약간 반대’와 ‘매우 반대’가 각각 14.9%와 11.0%였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3.3%였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전라도 찬성률이 75.1%로 가장 높았고 대전·세종·충청이 66.8%로 뒤를 이었다. 전통적인 보수 지역인 대구·경북은 찬성률이 가장 낮았음에도 50.2%를 기록했다. 서울의 찬성률은 55.7%로 두 번째로 낮았다.

미래에 각광받을 에너지원에 대해선 신재생에너지인 바이오(Biofuel)와 태양광이 각각 33.1%와 28.5%로 각각 1~2위를 기록했다. 3위는 12.2%로 원전이 차지했다. 풍력은 4.1%로 4위였다. 지역 및 직업군 등 세부적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인 가운데 대구·경북 지역과 응답자가 학생인 경우에는 원전이 태양광을 제치고 각광받는 에너지원 2위를 기록했다.

이번 결과는 문재인정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한 탈원전 정책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성공한 방증이라는 분석이다.

조임출 마크로밀엠브레인 수석연구위원은 “정부가 3년 넘게 신재생 에너지와 탈원전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알린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여론조사 대상이 만 59세까지여서 연령대를 만 60세 이상으로 확대했다면 원전 찬성 입장이 많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7월 친환경·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골자로 한 그린뉴딜을 발표했다. 유럽연합 등 주요 선진국들의 저탄소 전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 대비해 선도적으로 녹색산업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2025년까지 73조4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65만9000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 중 26개 국가가 원전을 없애거나 제로(zero)화로 가고 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전영환 홍익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는 “신재생 에너지 확대와 신규 원전 건설 중단은 이미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가고 있는 방향”이라며 “정부는 향후 나타날 많은 기술적·경제적 문제를 그린뉴딜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 기획물은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