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확산 우려, 소규모 운집도 피해
21대 총선 최대 관심사로 꼽히는 서울 종로 대전. 평소 같았으면 수십여명의 취재진이 이낙연 더불어민주당·황교안 미래통합당 후보의 일거수 일투족을 동행하며 취재했겠지만 이번엔 상황이 다르다. 코로나 확산 우려로 소규모 운집조차 피하며 공개 행보를 최소화 중이다. 대신 두 후보가 택한 수단은 유튜브다. 두 후보는 각각 이낙연TV·황교안오피셜을 개설해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유튜브 활용에 있어서는 이 후보가 한발 앞선다는 평가다. 황 후보 측은 유세 행보와 ‘지지자 릴레이 영상응원’ 등이 주된 콘텐츠인 반면, 이 후보 측은 실시간 소통방송을 비롯해 비공개 간담회·방문이나 여타 후보 응원 영상 등 상대적으로 풍성한 콘텐츠를 선보이는 중이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총선을 유튜브가 본격적으로 활용되는 최초의 ‘전국 단위 선거’로 평가한다. 과거 선거운동은 군중·길거리 연설에서 문자·이메일 홍보로 진화했다. 이후 2010년 전후 트위터·페이스북 등 SNS 선거전이 자리 잡았다. 지난 2017년 대선은 대선후보 1인에 집중된 유튜브 선거였다면 이번 총선은 전국 단위의 실시간 동영상 선거전이 본격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이낙연·황교안 후보에 앞서 유튜브를 적극 활용 중인 여야 의원도 적지 않다. 대표적인 국회의원 유튜버로는 이언주 통합당 의원(이하 구독자 33만명), 박용진 민주당 의원(4만명), ·하태경(4만 7000명) 통합당 의원 등이 있다. 흥미로운점은 최근 열린민주당에 합류한 손혜원 의원 채널이다. 여당 현역 의원 중 최대 구독자(22만 4000명)를 보유하고 있는 손혜원 의원은 불출마를 선언했음에도 거의 매일 콘텐츠를 올리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가장 선명한 친문(親文)을 내세우며 문재인 대통령 지지자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력 주자들은 코로나 여파로 부득이하게 유튜브를 활용하지만, 기성 언론의 주목도가 낮은 도전자들은 생존을 그 자체를 위해 유튜브를 이용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정봉주 전 민주당 의원이다. 정계복귀를 노렸던 정 의원은 구독자 20만명의 본인 채널(BJ TV)를 통해 서울 강서갑 공천, 비례정당 추진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고 언론의 관심을 이끄는 데 성공했다. 공천 갈등을 겪고 있는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도 홍카콜라TV(36만 6000명)를 통해 대중과의 소통을 이어갔다.
다만 인지도 자체가 미미한 정치신인의 경우 유튜브 활용도 쉽지 않다. 말 그대로 ‘그림의 떡’이다. 대부분의 예비후보는 먼저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고 문자 등을 통해 유권자의 시청을 호소하는 수준이다. 실제 영상도 대부분 조악하고 공약을 줄줄 읽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
이 때문에 인지도가 낮은 후보들은 유력 정치 유튜브 출연해 이름을 알리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진보 성향 유튜브로는 유시민의 알릴레오·김용민TV, 보수 성향으로는 신의한수·펜앤드마이크가 있다. 그러나 수많은 예비후보 중 유명 정치 유튜브에 나올 수 있는 총선 도전자 역시 극소수에 꼽히는 것이 현실이다.
각 정당도 유튜브전에 대비 중이다. 중앙당 차원에서는 각각 후보보다 큰 틀의 정책선거전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민주당 공식채널 ‘씀’은 현장 영상에 더해 ‘국회혁신’이라는 콘텐츠를 통해 정책공약을 홍보 중이다. 통합당 역시 현장 영상을 올리는 것은 같다. 다만 이달부터 신의한수 출신 진행자를 영입해 ‘미래’라는 뉴스토크쇼를 방송 중이다.
군소정당의 유튜브 활용법은 거대 양당보다도 떨어진다는 평가다. 민생당은 옛 바른미래당 채널을 이어받아 유튜브 채널을 이어가고 있지만 뚜렷한 콘텐츠를 선보이지 못하고 있다. 정의당 채널 역시 유튜브 사용빈도가 낮은 편이다.
정치권에서는 사상 초유의 유튜브 선거전이라는 데는 동의한다. 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점이라는 목소리다. 가장 큰 이유는 선거 특성의 차이다. 대선 같은 경우는 출마 후보 자체가 정당이기 때문에 모든 관심이 한 곳에 쏠린다. 반면, 총선은 한 정당이 모든 지역구에 후보를 출마한다면 253명이나 된다. 때문에 모든 후보에 관심을 주기 어려운 구조다. 결국 몇몇 유력후보, 격전지 정도만 관심을 받을 가능성이 커진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대선이나 광역단체장 선거처럼 넓은 지역에 소수 후보가 나온다면 뉴미디어 효과가 크다”며 “총선은 지역구별로 선거를 치른다. 생각보다는 유튜브의 효과 자체가 낮을 것이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