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전세계 산업·과학기술계의 최대 화두는 단연 ‘제4차 산업혁명’이다. 증기기관 발명에 의한 1차 혁명에 이어 전기와 대량생산 체제가 가져온 2차 혁명, 인터넷 및 컴퓨터 기반의 3차 혁명이 인류가 그동안 겪어 온 발전 단계다. 이제는 4차 혁명의 높은 파고가 전세계 기업과 사회 생태계를 송두리째 집어삼키고 있다.
AI시장 선점을 위한 세계 각국의 노력도 치열하다. 일본은 이를 ‘제2의 메이지 유신’으로 선언하고 정부 차원에서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는 모습이다. 일본이 지난 6월 ‘일본재흥전략’을 발표하고 AI 분야를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힌 대목이 이를 웅변한다. 중국도 AI 산업 육성을 위한 3개년 실천 방안을 내놓는 등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절대 강자가 없는 AI시장을 우리 기업이 선점하려면 날개를 달아줄 필요가 있다. 신기술이 등장하면 부작용을 우려해 원칙적으로 규제하면서 예외를 허용하는 현행 ‘포지티브 규제’ 방식으로는 AI혁명에 대비하기 어렵다. 기업들이 첨단기술 개발에 사활을 거는 마당에 정부 당국과 정치권이 간섭과 통제로 이를 막아서는 곤란하다는 얘기다. 적어도 AI 분야에서만큼은 규제 만능주의에서 벗어나 관련 제도를 기업친화적으로 재정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