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재형저축의 화려한 부활..'은행원은 괴로워'

송이라 기자I 2013.03.08 08:00:00

고객 유치경쟁 과열..과도한 판매 할당으로 이어져
예약판매가 실제 실적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벌점도

[이데일리 송이라 기자] 재형저축이 18년 만에 화려하게 부활하면서 서민들의 재테크는 유리해졌지만 은행원들은 속을 끓이고 있다. 은행간 고객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실적 부담에 시달리고 있는 탓이다.

7일 은행권에 따르면 대부분 은행들은 지난 6일부터 재형저축 판매를 시작했지만 고객 유치 경쟁은 이미 이전부터 불붙었다. 사전 안내광고는 물론 금리가 정해지지도 않았는데 사전예약 판매까지 실시했다.

재형저축은 일단 가입하면 최소 7년간 고객을 묶어두면서 카드나 보험 판매 등으로 추가 수익을 노릴 수 있어 은행 입장에서는 고객을 한 명이라도 더 끌어모으는 게 유리하다. 그러다 보니 직원들에 대한 과도한 판매 할당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참 전부터 예약판매를 실시하고 있는 S은행의 한 직원은 “한 달 전부터 지인들에게 가입 서류를 받고 있다”면서 “직원별로 수십장에서 수백장까지 가입 신청을 받아오도록 해 영업 압박이 심하다”고 토로했다.

이 은행은 예약판매 고객이 실제 가입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해당 직원에게 벌점을 주는 제도도 만들었다. 다른 직원은 “금리가 정해지기 전에 예약판매를 한 건데 금리가 더 높은 은행으로 간다는 고객을 어떻게 말릴 수 있겠냐”며 “벌점을 주는 건 너무하다”고 하소연했다.

은행원들 사이에서 재형저축은 ‘제2의 주택청약저축통장’으로 통한다. 2009년 출시된 주택청약저축통장은 ‘만능청약통장’이라고 불리며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하지만, 은행끼리 경쟁이 심해 은행원들이 자신의 돈으로 타인의 명의만 빌려 가입하는 ‘자폭통장’을 만드는 등 부작용을 낳았다.

입사 5년차인 W은행의 한 직원은 “주택청약저축통장을 팔 때도 경쟁이 심해 자폭통장은 기본이었다”며 “이번에도 실시간으로 개인 실적을 체크하는 등 벌써 과열경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신상품이 나오면 은행원들은 보통 본인부터 가입해 실적을 채우곤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재형저축은 대부분의 은행원들은 가입할 수 없다. 연봉 5000만원 이하라는 가입 조건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K은행의 한 직원은 “한 지점의 정규직 일곱 명 중 다섯 명은 가입 자격이 안된다”며 “입사 3년차만 지나도 조건이 안돼 실적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이 지점은 거래 중소기업체의 급여이체 고객들 명단을 뽑아 재형저축 가입을 권유하고 있다. 이 은행의 또 다른 직원은 “재형저축은 초기 금리가 높아 ‘역마진’이 날 수밖에 없다”며 “결국 향후 교차판매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라 실적 압박은 더 심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 관련이슈추적 ◀
☞ 재형저축의 부활

재형저축의 부활

- “우체국도 재형저축 판다”..연금리 최고 4.5% - 재형저축 후발주자 산은·우체국, 최고금리 줄까? - 재형저축 vs 저축성보험 어떤 게 이익일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