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뱅크도 지난달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를 연 3.4%에서 연 3.3%로 낮췄다. 같은 날 만기가 2~3년인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는 연 3.3%에서 연 3.0%로 0.3%포인트 인하했다. 이는 기준금리(3.5%)에 미치지 못하는 데다 주요 시중은행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주요 정기예금(12개월) 상품 최고금리는 연 3.50~3.60%로 카카오뱅크보다 0.2~0.3%포인트 높다. 토스뱅크도 지난달 27일 기본 입출금계좌이자 파킹통장인 ‘토스뱅크 통장’ 금리를 연 2%에서 연 1.8%로 0.2%포인트 낮췄다. 2021년 10월 출범 이후 파킹통장 금리 연 2% 수준을 유지했던 토스뱅크는 1%대로 금리를 낮추며 수신 전략에 변화를 주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예금뿐 아니라 대출에서도 금리 매력을 잃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가 3.98%로 나타났다. 카카오뱅크의 평균금리가 3.93%, 케이뱅크는 4.03%였다. 이는 지난 1월(3.88%)과 비교하면 0.10%포인트 오른 수치다.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의 평균 금리가 3.97%인 것과 비교하면 0.01%포인트 높다. 지난 1월 5대 시중은행의 평균 금리가 4.10%, 인터넷전문은행의 평균 금리가 3.70%였던 것과는 상반된 상황이다. 평균 신용점수도 인터넷전문은행이 높았다. 지난 4월 주택담보대출 평균 신용점수는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 962점이었지만, 5대 시중은행은 933점이었다. 인터넷전문은행이 시중은행보다 고신용자에게 대출을 공급했다는 의미다.
인터넷전문은행이 금리 매력을 잃어가는 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조이기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당국의 압박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이 금리를 높이며 대출을 쉽게 내줄 수 없도록 하니 예·적금 금리를 높여 자금을 조달할 이유도 없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몸집이 커진 인터넷전문은행이 시중은행의 영업 형태와 비슷해지며 혁신성을 잃고 있다고 비판했다.
점포비용과 인건비를 줄인 덕에 시중은행보다 나은 금리 혜택을 제공한다는 취지와는 달리, 3사 모두 1000만 고객을 달성하자 이자 이익 위주의 영업 방식을 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초창기 특별법를 통해 은산분리 등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한 이유는 차별적 금융 서비스를 기대했기 때문이지만 최근 3사의 영업 형태는 시중은행과 차이가 없다”며 “금융당국도 인터넷전문은행의 편의만을 고려해 규제만 느슨하게 할 뿐 혁신성을 이끌고 나갈 규제나 인센티브에 대한 고민이 부족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이어 “앞으로 새로운 인터넷전문은행을 추가할 땐 사업모델에 대해 위부 위원회를 거치는 등 더 꼼꼼히 평가해야 한다”며 “혁신성을 지속하지 못하면 라이센스를 해지하는 등 강력한 규제와 파격적인 인센티브 등 정책 보완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