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5일 발간한 ‘해외경제 포커스’에 따르면 코로나19 고위험, 중위험 지역으로 분류돼 전면 또는 부분 봉쇄 조치가 시행된 지역의 중국 내 경제 비중이 4월 11일까지만 해도 25%에 달했으나 5월말 8%로 줄었다. 중국의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는 4월 중순 2만 명대를 돌파한 이후 6월 1일 기준 100명대로 하락한 영향이다.
|
중국은 10월 시진핑 주석의 3연임 여부가 결정될 중국 공산당 대회가 예정돼 있어 코로나19 관리를 통한 사회 안정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 중환자 병상 수 부족으로 위드 코로나 정책 시행이 어려워 상당 기간 ‘제로 코로나’ 정책이 유지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은은 “봉쇄조치가 상하이를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풀리고 있지만 확진자가 발생하면 또 다시 봉쇄 조치를 취하는 등 10월 당대회 이전까지는 굉장히 유동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봉쇄 조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 그 효과가 나타나는 데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생산, 물류 정상화에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특히 소비도 고용시장 악화 및 가계부채 증가 등을 감안할 때 더딘 회복세가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전국 기준 실업률은 4월 6.1%에 달하고 금융기관 가계대출은 72조1000억위안으로 집계돼 소비 여력이 낮은 편이다.
올해 중국 정부가 목표한 5.5% 내외의 성장률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에 무게가 살리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 성장률을 4.4%, 노무라는 3.9%, UBS는 3.0%로 예측했다. 한은 역시 2월 5.0%에서 5월 4.3%로 전망치를 0.7%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실제로 도시 봉쇄 등 강력한 통제로 인해 3월 중국의 소매판매 증가율은 20개월 만에 마이너스(-3.5%)를 기록하고 4월 들어서도 -11.1%로 부진했다. 4월 제조업 및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모두 2020년 2월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중국 당국은 성장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4월 지급준비율을 0.25%포인트 인하하고 생필품 공급 등 소비 촉진 조치 등 내수 부양책을 발표했지만 회복세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