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비상등 켜진 1호 인터넷銀…부실채권 비율 국내은행 중 최대폭 증가

박종오 기자I 2019.05.28 07:14:38
자료: 금융감독원


[이데일리 박종오 기자] 국내 1호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가 이중고를 맞았다. 은행 경영을 주도하는 KT의 입찰 담합으로 자본금 확충에 발목이 잡히며 신규 대출 취급을 사실상 중단한 가운데, 기존 대출도 만기가 돌아오며 부실채권 비율이 치솟기 시작해서다. 은행의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진 것이다.

◇케이뱅크 부실채권 비율, 민간은행 중 최대폭 상승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부실채권 비율은 지난 3월 말 현재 0.8%로 1년 전(0.12%)보다 0.67%포인트 급등했다. 국내 19개 은행 중 KDB산업은행(1.01%)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이다. 산업은행이 기업 구조조정을 담당해 부실채권 발생 가능성이 큰 국책은행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민간 은행 중에선 케이뱅크의 부실채권 비율이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반면 신한·KB국민 등 시중은행(6개)의 평균 부실채권 비율은 같은 기간 0.65%에서 0.49%로 내려갔다. 지방은행(6개)도 1.04%에서 0.97%로 하락했다. 같은 인터넷 은행인 카카오뱅크는 3월 말 기준 부실채권 비율이 0.18%로 1년 전(0.04%) 대비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부실채권 비율은 은행 대출금 중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채무자의 예상 회수액 등 ‘고정 이하’ 여신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은행업 감독규정은 은행 자산을 건전한 정도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 의문, 추정 손실 등 5단계로 구분하는데 이중 고정, 회수 의문, 추정 손실 자산이 고정 이하 여신이다. 부실채권 비율이 치솟았다는 것은 장기간 연체가 발생해 은행이 떼일 가능성이 큰 돈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케이뱅크의 부실채권 비율이 최근 1년 새 껑충 뛴 것은 은행의 대출 증가가 제한된 가운데, 과거 취급했던 신용 대출의 만기가 도래하며 연체 등 부실이 현실화하고 있어서다.

케이뱅크는 최근 대주주인 KT가 담합 혐의로 검찰에 고발되며 지난달로 예정했던 5900억원 규모 증자 계획이 무산됐다. 케이뱅크 지분 10%를 보유한 KT가 신규 자본금을 대거 넣으며 케이뱅크의 최대 주주로 올라서려 했지만, 현행법상 은행 보유 지분이 10%를 넘으려면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형사 처벌을 받은 적이 없어야 한다는 조항에 발목이 잡힌 것이다. 케이뱅크는 현재 자본금 부족 문제로 대출 영업을 중단한 상태다.

이런 마당에 과거 취급한 고위험 대출 상품의 만기는 속속 도래하고 있다. 케이뱅크는 2017년 4월 영업 개시 직후 기존 은행 이용이 어려운 신용등급 4등급 이하 중·저신용자를 위한 중(中)금리 대출 상품을 집중적으로 선보였다. 실제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케이뱅크 출범 후 1년간 공급한 신용대출 총액 4547억원의 절반가량인 2062억원이 4~10등급 고객에게 제공됐다. 반면 같은 인터넷 은행인 카카오뱅크의 중금리 대출은 SGI서울보증의 보증을 끼고 공급해 연체가 발생해도 은행의 부실채권으로 잡히지 않는다.

금감원 관계자는 “케이뱅크가 초기에 자체적으로 저신용자를 위한 만기 1년의 무담보 중금리 대출을 많이 취급했는데, 대출자의 신용도가 아무래도 낮다 보니 원금을 갚아야 하는 시기가 오자 손실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이라며 “대주주 출자 문제로 작년부터 대출 영업을 축소한 것도 부실채권 비율이 올라간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부실채권 비율을 계산할 때 분모에 들어가는 은행의 대출 자산 증가가 정체되고 분자인 부실채권만 늘면서 수치가 크게 올라갔다는 이야기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케이뱅크는 특별한 묘수를 찾지 않는 한 앞으로도 부실채권 비율이 계속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부실채권 증가는 은행의 손실로 이어져 자본을 갉아먹고 장기적으로 은행의 부실화를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케이뱅크는 출범 후 지금까지 한 번도 부실채권 매각이나 상각(비용) 처리를 하지 않아서 전체 부실채권 비율이 높게 잡힌 측면이 있다”며 “전반적인 가계 신용대출의 건전성은 아직 위험한 수준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케이뱅크 살릴 해법 찾기 ‘난항’

문제는 케이뱅크를 살릴 묘수가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케이뱅크의 실질적인 경영 주체인 KT는 사실상 버티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은행업이 KT 이용자의 통신 이용 정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매력적인 사업인 만큼 당분간 KT를 대신할 새 투자자를 찾으며 시간을 끌겠다는 것이다. 케이뱅크는 다음달 412억원 규모 전환 우선주를 발행해 우선 급한 불을 끌 계획이다.

그러나 금융권 관계자는 “개점휴업 상태인 국회에서 KT의 인터넷 전문은행 증자를 허용하는 법 개정이 당분간 이뤄지길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지금처럼 대주주가 적극적인 투자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하면 케이뱅크의 가치 하락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