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휘청에 청년실업률 역대급…'만리장성이 흔들린다'

김성훈 기자I 2023.08.19 10:20:00

[위클리M&A]
디플레이션에 청년실업률 최고조
미국 제재에다 부동산시장 ''휘청''
111조 유동성 공급·관광 허용에도
5% 경제성장률도 장담 못할 처지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미국과 함께 세계 시장을 이끌던 중국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각종 경제지표 악화에 따른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우려가 짙어지면서 단기금리 인하라는 초강수를 던졌다. 여러 악재 속 최악 일로를 걷는 청년실업률에 대한 고민도 날로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정부의 자본시장 제재에 헝다그룹 파산 이슈에 따른 중국 부동산 업계 위기감까지 고조되면서 역대급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중국 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각종 경제지표 악화에 따른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우려가 짙어진데다 최악 일로는 걷는 청년실업률에 대한 고민도 날로 커지고 있다. (사진=로이터)
◇ 中 단기금리 인하 결정…111조원 유동성 공급

제78주년 광복절이던 지난 15일 중국에서는 유의미한 경제 소식이 쏟아졌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자국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등을 발표했다. 중국의 7월 소매판매는 지난해 동기 대비 2.5%, 산업생산 3.7% 증가에 그치면서 경기 침체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사태를 의식한 여파일까. 해당 지표 발표 직전,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단기 정책금리인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 금리를 1.8%로, 1년 만기 중기 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 2.5%로 각각 0.1%포인트와 0.1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로 시장에 유입되는 유동성 규모는 총 6050억 위안(약 111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게 현지 매체의 분석이다. 아울러 이번 금리 인하로 중국의 단기 정책금리가 2020년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는 소식도 곁들어졌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인민은행은 같은 날 오후에는 시중은행에 단기자금 빌려주는 단기유동성 지원창구(SLF) 대출금리도 전격 인하했다. 이에 따라 SLF 1일물 금리는 2.65%로, 7일 물은 2.8%로, 1개월 물은 3.15%로 각각 0.1% 포인트씩 인하했다. 유동성을 일으켜 디플레이션 국면을 타개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가 읽히는 대목이었다.

사실 이보다 더 주목받은 것은 중국의 청년실업률 통계였다. 지난 6월 21.3%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던 중국 청년실업률 발표를 정부가 더는 하지 않기로 발표했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경제지표와 같이 발표하던 연령별 실업률 통계를 앞으로 공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푸링후이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실업률 발표 중단 이유로 “경제·사회 발전으로 노동 통계 좀 더 최적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통계 최적화라는 이유를 내세웠지만, 시장에서는 최악으로 치닫는 청년실업률 수치를 공개하는 것이 중국 정부로서는 득이 될 게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자본시장에서는 이미 중국 청년 실업률이 22%를 넘어 하반기 30%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 지어 7∼8월에는 사상 최대 규모인 1158만명의 대학 졸업자 배출로 중국의 청년실업률이 더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유력하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 美 압박에 부동산도 휘청…성장률 전망 또 빗나가나

이례적인 금리 인하 카드로 내수 진작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나라 밖 상황도 녹록지 않다. 미국 정부가 자국 사모펀드와 벤처캐피탈 등 운용사를 향해 중국 최신 기술에 투자하지 말라고 엄포를 놨기 때문이다.

바이든 정부는 사모펀드 운용사와 벤처캐피탈(VC) 등 미국 자본이 중국의 첨단 반도체와 양자 컴퓨팅, 인공지능(AI) 등 3개 분야에 투자하는 것을 규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미국 정부가 3개 분야로 투자 제한 범위를 한정했지만, 이는 사실상 중국 투자에 전면 제동을 걸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설상가상으로 중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부동산 경제마저 휘청이는 모습이다. 중국 부동산 공룡으로 꼽히는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파산법원에 파산보호법 15조(챕터 15)에 따른 파산보호 신청을 하면서 신호탄을 쐈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외신 보도에 따르면 헝다 측은 청원서에서 홍콩과 케이맨 제도,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에서 진행 중인 구조조정 협상을 인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법원의 헝다에 대한 심리는 다음 달 20일 열릴 예정이다. 상황이 심상치 않게 돌아가자 중국 당국은 헝다그룹이 주식시장에서 정보 공개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혐의를 적용해 조사에 착수했다.

헝다그룹 선에서 우려를 잠재울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위기는 다른 기업으로도 퍼지고 있다. 올 들어 정보 공개 의무 위반 혐의로 중국 사정기관으로부터 경고장을 받은 중국 부동산 업체는 화자오청(OCT)과 진커, 룽성 등 10곳이 넘고, 이 중 베이징 서우카이, 시안 거리 등 업체는 실제 감독기관 조사까지 받고 있다.

실타래처럼 꼬인 이슈들을 풀어내지 않을 경우 연초 5% 내외의 경제 성장률 달성을 전망했던 중국 정부가 또 한번 전망 실패라는 결과를 맞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시장 분석이다.

미중 패권전쟁

- “소비 회복했다” 중국, 경기 반등 자신하지만…리스크는 여전 - 美국무부 "왕이 연내 방미 예상…미중 정상회담 노력할 것" - 美, 中견제 위해 희토류 확보 '총력'…베트남·사우디와 협력 강화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