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78주년 광복절이던 지난 15일 중국에서는 유의미한 경제 소식이 쏟아졌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자국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등을 발표했다. 중국의 7월 소매판매는 지난해 동기 대비 2.5%, 산업생산 3.7% 증가에 그치면서 경기 침체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사태를 의식한 여파일까. 해당 지표 발표 직전,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단기 정책금리인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 금리를 1.8%로, 1년 만기 중기 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 2.5%로 각각 0.1%포인트와 0.1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로 시장에 유입되는 유동성 규모는 총 6050억 위안(약 111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게 현지 매체의 분석이다. 아울러 이번 금리 인하로 중국의 단기 정책금리가 2020년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는 소식도 곁들어졌다.
|
사실 이보다 더 주목받은 것은 중국의 청년실업률 통계였다. 지난 6월 21.3%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던 중국 청년실업률 발표를 정부가 더는 하지 않기로 발표했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경제지표와 같이 발표하던 연령별 실업률 통계를 앞으로 공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푸링후이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실업률 발표 중단 이유로 “경제·사회 발전으로 노동 통계 좀 더 최적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통계 최적화라는 이유를 내세웠지만, 시장에서는 최악으로 치닫는 청년실업률 수치를 공개하는 것이 중국 정부로서는 득이 될 게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자본시장에서는 이미 중국 청년 실업률이 22%를 넘어 하반기 30%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 지어 7∼8월에는 사상 최대 규모인 1158만명의 대학 졸업자 배출로 중국의 청년실업률이 더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유력하다.
|
이례적인 금리 인하 카드로 내수 진작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나라 밖 상황도 녹록지 않다. 미국 정부가 자국 사모펀드와 벤처캐피탈 등 운용사를 향해 중국 최신 기술에 투자하지 말라고 엄포를 놨기 때문이다.
바이든 정부는 사모펀드 운용사와 벤처캐피탈(VC) 등 미국 자본이 중국의 첨단 반도체와 양자 컴퓨팅, 인공지능(AI) 등 3개 분야에 투자하는 것을 규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미국 정부가 3개 분야로 투자 제한 범위를 한정했지만, 이는 사실상 중국 투자에 전면 제동을 걸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설상가상으로 중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부동산 경제마저 휘청이는 모습이다. 중국 부동산 공룡으로 꼽히는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파산법원에 파산보호법 15조(챕터 15)에 따른 파산보호 신청을 하면서 신호탄을 쐈다.
|
헝다그룹 선에서 우려를 잠재울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위기는 다른 기업으로도 퍼지고 있다. 올 들어 정보 공개 의무 위반 혐의로 중국 사정기관으로부터 경고장을 받은 중국 부동산 업체는 화자오청(OCT)과 진커, 룽성 등 10곳이 넘고, 이 중 베이징 서우카이, 시안 거리 등 업체는 실제 감독기관 조사까지 받고 있다.
실타래처럼 꼬인 이슈들을 풀어내지 않을 경우 연초 5% 내외의 경제 성장률 달성을 전망했던 중국 정부가 또 한번 전망 실패라는 결과를 맞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시장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