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자본시장연구원은 니케이(NIKKEI) 주가지수상승률에 일본 경제변수 및 정책변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기업지배구조 및 세제 개선과 더불어 기업공개(IPO) 제도와 상장폐지 제도 개선 등 거래소 구조개혁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일본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보유 비중은 금액 기준 31.8%로 비교 가능한 1970년대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도쿄증권거래소(Tokyo Stock Exchange) 구조개혁은 지난 2022년 기존 5개(1부, 2부, 마자스, 스탠더드, 그로스)로 구분된 시장을 3개(프라임, 스탠더드, 그로스)로 축소한 개혁을 말한다. 기존 1·2부의 경계가 모호했던 문제를 해결하고, 시장을 기업 성장 단계에 따라 배정하는 ‘승강 구조’가 핵심이다.
|
프라임 시장은 엄격한 상장 기준(기업 거버넌스, 유동성, ESG 기준, 영어 공시 등)을 설정해 국제적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환경을 조성했다. 쿠로누마 에츠로(Etsuro Kuronuma) 일본 와세다대 법학부 교수는 “자본비용 및 주가를 의식한 경영을 도입하고 투자자와의 소통을 개선하도록 요구받아 경영진의 의식제고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그로스 시장 상장기업의 14%만 대규모 공모를 통해 자금조달에 성공, 기관투자가들의 외면으로 자금조달 문제가 나타났다. 아울러 프라임 시장 상장 유지 조건도 까다로워 추가 개선 계획 제출 부담 등도 제기됐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일본 주식 시장이 장기침체에서 탈피한 것은 기업 체질 변화가 가장 직접적 동인”이라며 “중장기적 시각에서 거버넌스 개혁과 기업체질 변화가 맞물릴 수 있는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