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권에서는 설 연휴를 지나면서 문재인 정부 마지막 개각이 점차 수면 위로 드러날 것이란 관측이 이어져왔다. 오는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 선거가 끝나면 정국은 급격하게 대선으로 향할 공산이 크다. 국무총리를 비롯해 경제팀 교체 등으로 전열을 재정비할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특히 대권 도전을 위해 사퇴 가능성이 점쳐지는 정세균 국무총리의 이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정 총리는 이르면 3월말, 혹은 4·7 재보선 전후 총리에서 물러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공백을 줄이기 위해서는 총리 후보군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결과에 따라 총리를 누구로 지명하느냐 여부는 ‘청문회 정국’의 가능성도 내포한다. 여기에 문 대통령이 약속했던 ‘내각 30% 여성’이 깨진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 마지막 국무총리로 여성이 발탁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문 대통령이 다각도로 고민을 할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지난해 연말부터 3차례의 크고 작은 개각을 통해 상당수 장관들을 교체했지만 핵심인 경제부총리 등 경제라인은 남았다.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등을 유임시켰던 문 대통령이지만,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과 4차 재난지원금 지급 시점과 맞물려 경제라인을 바꿀 가능성은 여전히 남았다.
4차 재난지원금 지급 방식을 놓고 여당과 마찰을 빚는 등 장수 장관으로서의 피로도가 높은 홍 부총리에 대해 문 대통령이 추가적 신임을 보낼지는 미지수다. 14일 기준으로 취임 797일이 된 홍 부총리는 앞으로 46일 더 재임하면 이명박 정부 당시 윤증현 전 부총리의 최장수 기록을 갈아치운다.
청와내 내부 개편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의 임기 마지막을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 조직 개편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업무가 겹치는 비서관실은 통합하고 일부 기능을 분산하는 등의 소폭 개편이 예상된다. 비서관들의 교체도 뒤따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