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주 한국NFT콘텐츠협회 초대 이사장은 최근 서울 강남구 집무실에서 이데일리와 만나 “NFT 시장이 이대로 가면 전망이 불투명하다”며 “민간 주도로 NFT에 대한 제도화, 안정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이사장은 열린우리당 국회의원, 서울시 정무부시장, 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장 등을 거치면서 입법·행정·산업계 경험을 두루 쌓았다.
|
가상자산시장 분석 업체 디앱레이더에 따르면 글로벌 NFT 거래량은 작년 1분기 12억달러(1조4000억원)에서 작년 4분기 119억달러(14조3000억원)로 10배 넘게 증가했다. 미국 NFT 거래소인 센트(CENT)는 불법 도용 판매 때문에 NFT 거래를 일시 중단하기도 했다.
김 이사장은 “시장은 급성장하는데 제도나 틀이 불명확하다 보니 큰 손들은 눈치만 보고 있고, 일반 투자자들은 피해를 입고 있다”며 △먹튀 △저작권 △교육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이사장은 먹튀 대책 관련해서는 “지금은 국내에 제대로 된 NFT 데이터센터도 없다 보니 어떤 NFT를 얼마에 사야 할지 파악하기 힘들다”며 “개별 NFT에 대한 신용평가로 옥석을 가리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 대책에 대해서는 “NFT 평가원 같은 조직을 구성하고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팩트체크 했으면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김 이사장은 “NFT를 만들고 적정 가격에 판매하는 방식, 환경 문제가 없도록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 NFT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실력을 쌓는 방법 등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그는 “차기정부에서 장관급 디지털경제부나 부총리가 총괄하는 대통령 직속 디지털경제위원회를 신설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이사장은 장기적으로 가상자산 시장과 주식 시장에 ‘동일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미국의 기관투자자들이 코인에 투자하면서 나스닥 등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이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김 이사장은 “주식과 코인의 공제기준 등 규제를 동일하게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코인만을 위한 업권법을 제정하기보다는 자본시장법을 개정해 폭넓게 접근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NFT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기술 문제보다는 기득권 질서를 혁파하는 게 관건”이라며 “법·제도 개정, 전담조직 신설을 위해서는 기득권 혁파에 대한 대통령·청와대의 인식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차기 대통령이 누가 되더라도 NFT를 새로운 벤처시장으로 보고 힘을 실어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