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용산공원, 100년 앞을 내다보고 만들어야

논설 위원I 2018.11.05 06:00:00
그동안 주한미군이 주둔하던 서울 용산기지가 제한적으로나마 버스투어 형태로 시민들에게 공개된다. 구한말 당시 청나라 군대가 주둔한 이래 일본에 군용지로 수용됐다가 해방 이후 다시 미군이 주둔함으로써 줄곧 외국군의 관할 아래 놓여 있던 역사의 현장이 130여년 만에 일반에 공개되는 것이다. 엄연히 우리 땅인데도 외국군의 점유로 넘어가는 바람에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됐던 용산기지가 우리 관할로 되돌아왔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수난의 역사가 복원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앞으로의 문제는 이 부지를 과연 어떻게 이용할 것이냐 하는 것이다. 미군의 평택기지 이전을 계기로 생태·역사공원으로 개발한다는 방안이 일찌감치 제시됐지만 용산공원 세부 계획이 마련되기까지는 아직 넘어야 할 고비가 적지 않다. 전체 부지가 243만㎡ 규모에 이를 만큼 넓다는 점에서 각 부처마다 욕심을 내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부와 서울시가 부지를 부분적이나마 일반에 공개하는 것도 개발 방향에 대한 여론을 수렴하자는 취지다. 그렇다면 체험프로그램 등의 방법으로 개방 범위를 좀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새로 조성될 용산공원에서 건물의 추가 건축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을 굳힌 것은 일단 다행이다. 부지 안에 기존 역사적 건물들도 적지 않으므로 가급적 보존 위주로 방향을 정하고 새 건물은 불가피한 경우로 한정해야 한다. 부지가 넓다고 여기저기 건물을 세우다 보면 자칫 난개발이 되기 십상이다. 더욱이 이곳에 공공임대주택을 지어야 한다는 얘기도 오가는 모양인데 그것은 곤란하다. 서울시의 용산개발 방침으로 인해 부동산값이 폭등했던 최근 사례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곳에 시민공원을 조성하려면 토양오염 조사 및 정화 절차도 필수적이다. 군대가 오랫동안 주둔했으므로 중화기 운용에 필요한 유류저장 시설이 설치됐었을 테고, 따라서 토양오염 가능성을 간과할 수 없다. 기존 건축물들에 대해서도 역사·문화적 가치 평가가 선행돼야 한다. 용산공원은 모든 시민들이 편안히 쉴 수 있도록 최소한 100년 앞을 내다보고 만들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각계각층 인사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적극 반영하는 절차가 따라야 할 것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