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승만 대통령은 1956년 9월 14일 국무회의를 열고 10월 1일을 ‘국군의 날’로 정했다. 광복절(8월 15일), 제헌절(7월 17일) 등 다른 국가기념일과 같이 역사적 사건을 계기로 지정한 국가기념일과 달리 국군의 날은 큰 고민없이 정해졌다.
군 당국은 국군의 날이 10월 1일로 정해진 이유에 대해 ‘창군 이후 각 군별로 창설기념일을 제정해 시행해 오던 것을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에서 마지막 창설된 공군의 창설기념일로 통합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국군의 날을 확정한 당시 국무회의의 심의경과표를 보면 국군의 날 제안 이유와 제정 배경에 대해 ‘3군 단일화와 국군의 사기, 그리고 국민의 국방사상 함양에 바탕을 두고 재정 및 시간을 절약하는 데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국군의 날이 정해지기 전까지 각 군의 창설 기념일은 제각각이었다. 육군은 1946년 1월 15일 미군정 아래서 국방경비대가 창설된 날을, 해군은 1945년 11월 11일 조선해안경비대의 모체가 된 해방병단의 창설일을, 공군은 육군에서 분리 독립한 1949년 10월 1일을 창설기념일로 삼았다. 해병대는 1949년 4월 15일 부대 창설일을 기념일로 정했었다.
국군의 날이 논란이 된 이유는 국군 3사단이 38선을 돌파한 1950년 10월 1일을 기념한 것이 국군의 날의 배경이 됐다는 주장 때문이다. 이와 관련 육군은 1955년 유엔군이 38선 돌파를 공식 승인한 10월 2일을 육군 창설기념일로 정했었고, 이후 연대급 부대가 38선 위로 진격한 날짜가 10월 1일이라는 게 확인되자 이날로 기념일을 변경한 바 있다.
|
표명렬 평화재향군인회 고문(예비역 육군 준장)은 “현재 국군의 날은 국민들로 하여금 국군의 정체성이 6.25전쟁에 있는 것처럼 오인하게 할 수 있다”며 “조국의 광복을 위해 대일선전포고를 했던 광복군 창설일을 국군의 날로 정하는 것이 외세의 침략을 막아야 할 군의 정체성과 정통성을 회복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김영관 전 광복군동지회 회장은 “정부는 국군의 날이 38선을 돌파한 날이 아니라 공군 창설일로 3군 기념일을 통합한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이는 궁색한 변명에 불과하다”며 “6.25전쟁에는 동족상잔의 아픔이 담겨있는데 국군이 38선을 돌파했을 때를 국군의 날로 기념하는 것은 남북통일을 생각해서도 모순이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 관련기사 ◀
☞ [마지막 광복군]軍 뿌리찾기 '항일 광복군 Vs 미군정 국방경비대'
☞ [마지막 광복군]잊힌 '독립전쟁'.."그들은 우리를 잊었다"
☞ [마지막 광복군]"대한민국 시작된 곳 찾아 감동"
☞ [마지막 광복군]"복원? 훼손?" 상해 임시정부는 '공사중'
☞ [마지막 광복군]국군의날은…광복군 창설일? 6·25 반격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