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년 여론조사를 보면 이 후보의 우세 흐름은 뚜렷하다. 1일 발표된 KBS·MBC·SBS 지상파 3사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후보는 윤 후보에 8.9%~12%포인트 격차로 우세한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4개 회사가 공동으로 실시해 지난해 12월 30일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National Barometer Survey)에서도 이 후보가 39%로 윤 후보(28%)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11월 둘째 주 같은 조사 결과(윤석열 39%, 이재명 32%)와 비교하면 지지도가 정반대로 뒤집힌 셈이다. (이상 여론조사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 3.1% 포인트,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다만 양측 모두 현재의 지지율 차이에 큰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최근 라디오 인터뷰에서 거스 히딩크 감독의 `아직 배고프다`(I‘m still hungry)는 말을 인용한 뒤, 안정적인 `매직 넘버`로 50%의 지지율을 꼽았다. 이 후보 역시 새해 첫날 부산신항을 방문한 뒤 취재진과 만나 “국민들이 듣기 불편한 퇴행적 말씀을 하시다 보니 그분(윤석열 후보)이 많이 떨어진 것”이라며 “제 지지율이 많이 올라갔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몸을 낮췄다.
무엇보다 그때그때 지지 후보를 바꾸는 `스윙 보터`(swing voter)인 2030세대의 표심이 최대 승부처가 될 것이란 데 이견이 없다. 여야 후보 모두 이들의 지지를 온전히 얻지 못하면서 `지지 후보가 없다`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태도 유보` 층이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 11월 둘째 주 NBS에서 `태도 유보`는 18~29세 31%, 30대 26%였다. 그러나 12월 다섯째 주 18~29세는 38%로 오히려 늘었고, 30대는 20%로 줄었다. 2030세대의 표심이 여전히 `표류 중`인 셈이다.
정책 공약에선 문재인 정부의 최대 실정으로 거론되는 부동산 민심이 크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정권 재창출을 꾀하는 이 후보나 정권교체를 노리는 윤 후보 모두 성난 부동산 민심을 잡지 않고는 대선 승리가 어렵다는 판단 하에 부동산 공약에 공을 들이고 있다.
MBN·매일경제 의뢰로 한국갤럽이 지난 28~2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한 조사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차기 정부가 경제 분야에서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로 37.1%가 `부동산 가격 안정` 을 꼽았다. 다음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28.4%, 과도한 규제 완화 15.2%, 코로나 피해 지원 11.0%, 연금개혁 5.0%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20대는 44.4%, 30대는 45.6%가 부동산 가격 안정이 가장 시급하다고 답해, 부동산 가격 폭등에 대해 젊은 세대들의 불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안정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공급 확대 29.2% △주택 관련 세금 완화 27.7% △재건축·재개발 촉진 14.0% 순으로 답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상승세를 고리로 한 윤 후보와의 단일화 여부도 막판 변수다. 지난 4·7 서울시장 보궐 선거에서 오세훈 후보가 승리를 거머쥘 수 있었던 방정식이다. 안 후보와 윤 후보 측은 현재로선 부정적이지만, 그 결과에 따라 다자 구도인 판 자체를 흔들어 정권 교체 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 막판까지 예측하기 어렵다. 지난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당시에도 대선을 불과 2주 앞두고 단일화가 성사됐었다.
최근 특별 사면된 박근혜 전 대통령이 대선을 불과 1개월 앞둔 시점에서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도 관심사다. 다음달 초 삼성서울병원에서 퇴원 예정인 박 전 대통령이 국정농단 사건 수사 주역인 윤 후보를 향해 원망이나 비판을 담은 입장을 밝힐 경우, TK 지역 등 전통 보수 지지층의 분열은 물론 윤 후보에 대한 지지 철회로도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치권 관계자는 “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이 절대적이진 않겠지만 무시할 수준은 아닐 것”이라면서 “결국 윤 후보의 지지율이 앞으로 어떤 흐름을 보이느냐에 달려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