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최대 수출 호황에도 제조업, 물류난 등 '3중고'에 울상

최정희 기자I 2021.07.02 06:00:00

제조업 생산·출하, 석 달째 감소..재고는 석 달만에 증가
원자재·물류비 급등에 차량용 반도체 칩 등 부품 부족
"수출 호조, IT 등 일부 업종에 국한" 우려도
"원자재 부담 등이 경기회복 꺾진 못해" 분석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은 차량용 반도체칩 부족으로 지난 석 달간 공장문을 네 차례나 닫아야 했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대로 올라서면서 정유업체가 조단위 흑자를 내고 있지만 빛좋은 개살구라는 지적이다. 쌓아둔 원유 재고자산 평가이익은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원유 가격 상승폭에 비해 휘발유 등 석유제품 가격은 덜 올라 정제마진은 제자리여서다.

사상초유의 수출호황에도 제조업체들은 △원자재 가격 급등, △부품 공급 차질,△물류 적체·물류비 급등 등 3중고를 겪고 있다. 수출 호조에도 제조업체 가동률이 석 달째 하락했다.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제조업 심리지수도 넉 달째 뒷걸음질 쳤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올해 4%대 경제성장률 달성이 가능할 것이란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 있지만 자칫 이같은 악재가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느 우려가 나온다. ◇ 팔리는 속도보다 재고 쌓이는 속도 더 빨라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상반기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6.1% 증가한 3032억 4000만 달러였다. 11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3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그러나 수출 호조세와는 달리 제조업 생산, 출하는 석 달째 감소하며 가동률 지수가 하락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제조업 가동률 지수(2015년 100 기준)는 99.1로 전월비 0.1포인트 하락하는 등 석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2월 77.3%로 2014년 7월(77.7%) 이후 6년 7개월만에 최고치를 찍었으나 3월 74.9%로 하락하더니 4월, 5월 두 달째 73.8%로 제자리걸음이다.

가동률은 현재의 생산량을 기업이 전체 공장을 최대한 가동했을 때의 생산량으로 나눠 계산하는데 분자인 생산량 자체가 석 달째 감소하면서 가동률이 하락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5월 제조업 생산은 전월보다 1.0% 감소, 석 달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생산이 일시적으로 줄더라도 물건 팔리는 속도가 빨라지면 이는 다시 생산 증가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물건이 팔리는 속도보다 재고 쌓이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재고율(재고/출하비율)은 3월 101.5%에서 4월 102.1%, 5월 102.4%로 점차 상승, 전기장비와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재고가 늘어나고 있다. 재고 자체가 전월비 0.1% 증가, 석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고 출하는 0.2% 감소, 석 달째 줄어들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반도체는 글로벌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나 반도체 장비 관련 설비투자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관련 생산이 감소하고 있고, 자동차의 경우 차량용 반도체칩 수급 불안에 생산이 감소하면서 가동률도 하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 원자재·물류비 급등은 채산성 악화..“경기 꺾을 정도는 아냐”

제조업체의 가동률 하락은 원자재 가격 급등, 물류비 부담, 차량용 반도체 칩 등 부품 수급난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원자재·물류비 급등, 부품 공급 차질 등은 제조업체의 체감경기를 위축시키고 채산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한경연에 따르면 6월 중순 매출액 상위 600개 기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제조업 심리지수(BSI)는 100.9로 3월 114.0을 기록한 이후 넉 달째 하락하고 있다.

석유업계 관계자는 “최근 유가는 수요 증가보다는 셰일오일 생산이 주춤한 상태에서, 산유국 감산 유지, 원유 선물 투기 등에 따라 오른 것이라 유가가 1달러 올랐다고 해도 실제 휘발유 등 제품 가격에 반영되는 가격은 0.8달러에 불과하다”며 “정제마진이 악화되는 구조”라고 말했다.

차량용 반도체칩 부족은 TSMC의 생산 확대로 하반기로 갈수록 해소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나 해상 물류대란에 따른 물류비 부담은 제조업체 전반에 원가 부담, 부품 부족 등 병목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작년 하반기부터 미국 항만에서 화물을 내리지 못한 컨테이너선들이 몇 주간 정박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물류를 옮기는 컨테이너선과 컨테이너 박스가 부족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시간이 지나면 적체 현상이 풀릴 수 있지만 중국 옌텐항 코로나 발생, 대만 가오슝항 크레인 사고 등 돌발 변수가 생기면서 적체 현상 개선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제조업체의 3중고가 경제 회복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상호 한경연 경제정책팀장은 “제조업이 수출을 주도하는 것은 IT 등 일부에 한한 것”이라며 “전반적인 산업 경기가 활황세라고 보기 어려운데다 코로나 이전 수준의 경기가 회복했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밝혔다. 반면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가동률은 일시적으로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으나 수출이 좋으면 개선될 수밖에 없다”며 “원자재 비용 부담 등이 경기를 꺾을 만큼은 아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