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경호 출범에 따라 공동생동 ‘1+3제’ 등 식약처가 추진 중인 복제약 과당경쟁 근절을 위한 대책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처장은 처장 임명 전 성균관대 교수 시절 각종 세미나와 토론회 등에서 국내 제약사들이 복제약 대신 신약개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제기했다. 제약사가 신약개발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신약에 대해 약가우대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제약사는 이로 얻은 수익을 다시 연구개발에 투자해 선순환구조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학자 시절 주장을 처장이 되어 어떤 방식으로 풀어낼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신약을 허가하는 기관(식약처)과 약가를 정하는 기관(복지부)이 다른 상황에서 정책적 조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관계자는 “식약처가 장기적으로 공동생동을 없애기로 했지만 구체적인 개선안을 다듬어야 하는 만큼 이 신임처장이 전문성을 발휘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식품분야에 대한 경험 부족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숙제다. 이전 류영진 처장은 취임 직후 살충제 계란 파동, 생리대 화학물 논란 등에서 미숙하게 대처하면서 곤혹을 치른 바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식약처가 다루는 분야가 식품과 의약품, 의료기기, 의약외품, 화장품 등 폭이 넓기 때문에 처장이 모든 분야를 장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전문성은 높이면서 자신이 모르는 분야는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경청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최성락 차장이 식품행정 전문가이기 때문에 최 차장과의 호흡이 초기 원활한 업무 수행에 있어 관건일 것”이라며 “식품 담당 직원들과의 지속적인 스킨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밝힌 이 처장 낙점 이유는 전문 역량이다. 청와대는 “이 신임 처장은 사회약학 및 의약품 정책 분야 전문가”라며 “정부 출연 연구기관과 대학에서의 연구 활동을 통해 축적한 전문성을 토대로 먹거리 안전을 확보하고 의약품과 의료기기 시장의 관리체계를 개선하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책환경을 조성해 나갈 적임자”라고 말했다.
한편 이 처장은 “국민 눈높이에 맞는 식의약 안전정책 마련과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돕고 품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이 처장은 1962년생으로 서울대 약대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 아이오와대에서 사회약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의료연구실장을 역임한 뒤 2006년 숙명여대 약대 임상약학대학원 교수에 임용된 두 2012년 성균관대 약대로 자리를 옮겨 제약산업특성화대학원 사업단장 등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