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빙무드를 탄 남북관계는 물론 상호 대화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북미관계를 진전시키기 위해 ‘대북특사’가 최적의 카드라는 인식 때문이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조성된 남북관계 개선 등 한반도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문 대통령이 대북파견 계획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 남북정상회담의 조기 개최는 물론 북미대화 재개 여부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관측된다.
◇文대통령·트럼프, 평창 이후 한반도 정세 논의…“남북대화 유지·비핵화 노력 계속”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이날 통화로 한미동맹 이상 기류를 불식시켰다. 문 대통령은 1월 2차례, 2월 1차례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적잖은 성과를 거뒀다. 올림픽 기간 중 한미연합군사훈련 연기에 합의한 게 대표적이다. 문 대통령은 특히 “남북대화 과정에서 미국과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며 한미공조 의지를 분명히 했고 트럼프 대통령 역시 “미국은 100% 문재인 대통령을 지지한다”며 “적절한 시점과 상황 하에서 미국은 북한이 대화를 원할 경우 열려있다. 남북간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어떤 군사적 행동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평창올림픽를 계기로 제3차 남북정상회담은 물론 북미대화 가능성 타진 등 한반도 정세의 급변에도 한미정상 통화가 이뤄지지 않아 양국 사이에 뭔가 이견이 적잖은 것 아니냐는 우려가 쏟아졌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 평창동계올림을 화두로 꺼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평창올림픽이 매우 성공적이고 훌륭하게 치러지고 있다”며 축하 인사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마이클 펜스 부통령 및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선임보좌관의 파견을 포함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가 평창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가능하게 해 주었다”며 감사의 뜻을 표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올림픽 기간 중 북한의 특사 및 고위급 대표단 방한 결과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협의를 가졌다. 양국 정상은 이와 관련, 남북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해 이를 한반도의 비핵화로 이어나가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양 정상은 향후 진행될 남북대화의 진전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윤영찬 수석이 덧붙였다.
◇‘文대통령 언급’ 대북특사, 남북정상회담 개최·북미대화 의견 조율하나?
문 대통령이 언급한 대북특사는 김정은 노동당위원장 특사로 방남했던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의 방남에 따른 답방 성격이다. 김여정 특사는 특히 지난 10일 청와대를 예방, 문 대통령과 오찬회동을 가진 자리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하고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을 요청했다. 사실상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요청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당시 “여건을 만들어서 성사시켜 나가자”며 조건부 수용 의사를 밝혔다. 다만 북미대화 재개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기정사실화하는 사회 분위기가 만들어지자 지난달 17일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많은 기대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마음이 급한 것 같다. 우리 속담으로 하면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 격”이라고 시기상조론을 내세웠다.
남북정상회담과 북미대화는 서로 뗄 수 없는 ‘동전의 양면’이다. 남북대화의 진전이 북미대화 재개로 이어지고 북미대화의 진전이 남북정상회담의 안정적 개최를 보장하는 선순환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조만간 파견할 대북특사는 남북정상회담 개최 시기와 방식에 대한 협의는 물론 북미대화 재개에 대한 북한의 진의를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북미가 대화여부를 놓고 엄청난 신경전을 벌이는 점을 고려하면 문 대통령의 북미 중재는 필수적이다. 북한 측은 대화재개의 전제조건으로 내심 대북제재 완화와 한미군사훈련의 중단을 촉구하지만 미국 측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중단 등 비핵화에 대한 보다 성의있는 조치를 촉구하는 등 양측의 입장은 엇갈리고 있다. 평창올림픽 기간 중 이른바 ‘김여정·펜스 회동’이 성사 직전까지 갔다가 막판 북한의 거부로 취소된 것도 북미의 주도권 다툼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文대통령 설득에 북미 대화의지 피력…누가 언제 북한 다녀올지 관심
최근 북미대화 재개를 둘러싼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문 대통령은 25일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과의 회동에서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문제의 본질적 해결을 위해서라도 북미 대화가 조속히 열려야 한다”고 설득했다. 김 부위원장 역시 “북미대화를 할 충분한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도 북미대화와 관련, “그들은 대화를 원하고 있으나 우리는 오직 적절한 조건 아래에서만 대화하기를 원한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제 관심은 대북특사로 누가 언제 북한을 다녀오느냐다. 대북특사는 그동안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이 거론됐는데 외교안보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문 대통령이 최종 낙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대북특사 파견이 문 대통령의 공개 언급으로 수면 위로 떠오른 만큼 조만간 곧 결론이 날 전망이다. 너무 늦어지면 대북특사 파견이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가 될 수도 있다. 당장 시간도 부족한 상황이다. 평창 패럴림픽 종료 이후 4월로 예정된 한미군사훈련의 재개, 축소, 중단 여부는 물론 북한의 추가 도발 여부가 평창 이후 정국의 중대 변수가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