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경제정책 추진 방향은 크게 두 갈래다. 하나는 이전 문재인 정부의 잘못된 정책을 바로잡는 정상화의 추진이고, 다른 하나는 개혁 과제의 추진이다. 이전 정부의 어두운 유산인 소득주도성장, 탈원전, 대규모 적자재정 등 비정상적인 정책들을 정상화하는 것이 한 축이고, 미래 한국을 위해 더는 미룰 수 없는 노동개혁, 연금개혁 등 개혁 과제 추진이 다른 한 축이다.
이들은 이념적 차이나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공감대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과제들이다. 그런 점에서 새 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해 긍정적 평가와 함께 잘 시행되기를 바라는 기대감이 컸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이런 정책 과제들을 실천에 옮기는 지난 1년의 과정은 소리만 요란했지 별무소득이었다. 정책 과제를 실천에 옮길 구체적인 정책 내용이 정책 방향과 엇박자를 내는가 하면 실행 과정도 매끄럽지 못하면서 정책 표류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몇 가지 사례를 짚어보자.
애초부터 방법이 잘못된 최저임금 인상을 동원한 ‘문재인표’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폐기하는 것이 마땅했다. 하지만 소득양극화를 완화하고 내수를 활성화해 경제의 성장 능력을 높이겠다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근본 취지까지 같이 묻혀 버려서는 안 된다. 급격히 약화되고 있는 성장 능력을 되살리기 위해서라도 소득양극화 해소와 내수 활성화는 꼭 필요한 과제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폐기만 했지 이를 대체할 뚜렷한 양극화 해소 정책을 찾아보기 어렵다.
|
그나마 있는 정책도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다. 자영업자의 코로나19 피해 지원을 위해 마련된 ‘새출발기금’은 유명무실한 상태로 방치돼 있고, 두 차례의 화물연대 파업에도 화물운송시장 개혁은 변죽만 울리고 지지부진하며, 플랫폼 정책은 규제와 자율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고 갈팡질팡하고 있다. 정부가 정말 양극화 해소에 관심이 있는지 진정성을 의심받을 위기에 처해 있다.
야심차게 시작한 노동개혁도 마찬가지다. 노동개혁의 핵심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에 높이 처져 있는 담장을 낮춰 노동시장을 유연하게 함으로써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창출해 내는 데 있다. 하지만 현실은 지엽적 과제인 근로시간 유연화에 발목 잡혀 고용형태 다양화나 임금체계 개편 등과 같이 정작 중요한 개혁 과제는 손도 못 대고 있는 형국이다.
왜 이렇게 도처에서 정책 목표와 현실 정책 간에 엇박자가 생기는 것일까? 혹여 정책 방향을 잘 잡았으니 잘 되겠거니 하는 안이한 생각이 자리잡고 있다면 큰일이 아닐 수 없다. 구체적인 정책 설계와 치밀한 실행 방안이 수반되지 않으면 아무리 정책 방향이 좋은 들 소용이 없다.
정책은 결국 결과가 좋아야 평가받을 수 있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을 지금 정부는 새겨들어야 할 때다. 남은 4년을 허송세월하지 않으려면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