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채용시장에서 일자리 미스매치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인력이나 매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중소기업들은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허덕이고 있는 반면 청년층은 지원할 기업이 없어 이른바 N포 세대(결혼·취업 등 N가지를 포기한 세대)로 전락하는 ‘취업난 속 인력난’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경기 저성장 속 일자리 쏠림현상으로 나타나는 취업시장의 난맥상이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청년층에 대한 실질적인 인센티브 확대,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1년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1분기 상용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미충원 인력은 8만500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2만6000명)에 비해 43.3%가 급증했다. 3년 만에 최다 인원이다. 미충원인원은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구인 공고를 해도 실제 채용으로 이어지지 못한 인원을 말한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미충원인원이 3만2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운수 및 창고업(1만600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000명) 순이다.
청년 실업률이 갈수록 높아지는 상황에서 기업, 특히 중소기업이 근로자 기근에 시달리는 이유는 뭘까. 가장 큰 이유를 보면 취업준비생들의 기대치에 맞는 기업이 부족한 것이 제일 큰 원인으로 꼽힌다. 또 기업 입장에서는 최소한의 실무능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어 채용을 적극적으로 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본적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실질적으로 임금차이가 너무 많이 나는데다 상위 노동시장과 하위 노동시장의 이동할 수 있는 사다리가 전혀 없이 극단적으로 분절돼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
◇일자리 지원책, 현장서 오작동…“중장기 지원·통합 창구 마련해야”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정부나 각 부처 산하기관에서 다방면으로 일자리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중장기 대책이 아닌 임시방편적인 단기 처방에 불과한데다 이를 공지하는 제대로 된 소통 창구도 없어 기업들이 적용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온라인 마케팅 및 디지털컨텐츠를 제작하는 A중소기업을 운영하는 한 대표는 “올해 인턴 등 2명을 채용해 정원을 12명으로 늘릴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정부 지원이 3개월로 짧게 정해져 있다 보니 6개월 교육이 충분히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할지 고민 중”이라며 “지원 정책이 일관되지 않고 예산 소진 시 바로 적용이 끝나는 경우가 많아 현장에서 업무교육을 진행하기가 어려운 점이 많다”고 토로했다.
매출 30억원 규모의 IT업체 대표는 “서울시,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등 각 기관에서 다양한 청년일자리 지원을 하고 있지만 정보가 여러 곳으로 나눠져 있어 찾는데 적잖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며 “지원책을 잘 활용해 맞춤형 인재를 선발할 수 있도록 통합 지원 시스템을 갖췄으면 훨씬 도움이 될 거 같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는 청년층의 취업 문턱을 낮추기 위해 실질적으로 취준생인 청년층이나 중소기업에게 적극적인 지원을 하는 등 실질적인 일자리 정책을 펼쳐 톡톡히 효과를 보고 있다.
|
서울시 관계자는 “청년층이 선호하는 기업의 참여를 확대해 구직자 참여 인원을 늘리고 인턴 기간을 더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실전에 바로 투입돼 일을 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전문기관을 통해 현장·실무 중심 교육을 진행하는 만큼 양질의 일자리를 원하는 청년층 지원이 활발한 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