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민족과 함께 한 천년주목, 생태숲으로 1000년 번영

박진환 기자I 2024.11.26 05:20:00

■연속 기획-숲, 지역과 산촌을 살린다(18)
강원도 평창 대관령 발왕산 생태숲, 대한민국 100대명품숲
수령 1800년 천년주목 등 주목군락지에 천년주목숲길 조성
1018㏊ 산림유전자원보호림…희귀식물 분포 생태적 가치↑
국유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프로젝트, 전국적 선도모델

산과 숲의 의미와 가치가 변화하고 있다. 가치와 의미의 변화는 역사에 기인한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황폐화한 산을 다시 푸르게 만들기 위해 우리는 어렵고 힘든 50년이라는 혹독한 시간을 보냈다. 산림청으로 일원화된 정부의 국토녹화 정책은 영민하게 집행됐고 불과 반세기 만에 전 세계 유일무이한 국토녹화를 달성했다. 이제 진정한 산림선진국으로 가기 위해서는 산림을 자연인 동시에 자원으로 인식해야 한다. 본보는 지난해 산림청이 선정한 대한민국 100대 명품 숲을 탐방, 숲을 플랫폼으로 지역 관광자원, 산림문화자원, 레포츠까지 연계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100회에 걸쳐 기획 보도하고 지역주민들의 삶을 조명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강원 평창 발왕산 생태숲 전경. (사진=동부지방산림청 제공)
[평창=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에 위치한 발왕산은 웅장한 산세와 함께 영험한 기운이 입구에서부터 느껴지고 있었다. 발왕산은 국내에서 12번째로 높은 산으로 예부터 명산 중의 명산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과거 발왕산은 8명의 왕이 날 기운이 있다고 해 ‘팔왕산’으로 불렸다. 이후 현재의 이름인 발왕산으로 불리며, 왕이 발현하는 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풍광은 사계절 언제나 아름답지만 백미는 겨울이다. 드라마 ‘그 겨울 바람이 분다’, ‘도깨비’, ‘겨울연가’의 촬영지가 바로 발왕산이다. 1458m의 발왕산 정상은 평소 용평리조트에서 운영하는 곤돌라를 타고 쉽게 오를 수 있었지만 취재진이 방문한 날에는 장비 점검을 이유로 편하게 오를 수는 없었다.

사륜구동 차량을 이용해 비포장도로인 정상까지 30여분이 걸렸다. 쉽지 않은 여정이었지만 발왕산 정상에서 보는 경치는 자연만이 줄 수 있는 아름다움의 시작이자 끝이었다. 정상부에 설치된 스카이워크에서 내려다보니 발왕산의 골과 능선이 한눈에 보였고 바람 소리는 겨울이 오고 있음을 알렸다. 국내 가장 높은 스카이워크인 ‘발왕산 기(氣) 스카이워크’에 올라서니 구름마저 발아래로 흐르는 엄청난 높이에 마치 하늘에 떠 있는 느낌이다. 주변에 거칠 것이 없어 일출과 일몰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이기도 하다.

수령 1800년으로 추정되는 아버지왕주목. (사진=박진환 기자)
◇8명의 왕이 날 기운 ‘발왕산’…겨울 풍광은 자연이 빚은 아름다움의 극치

발왕산 북쪽 사면은 완경사를 이뤄 용평리조트가 조성돼 있었고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의 경기장으로 사용됐다. 그간 스키 마니아들만 찾던 이곳이 사계절 관광지로 급부상한 것은 수령 1800년으로 추정되는 아버지왕주목을 비롯해 주목 군락지가 유명해지면서부터이다.

주목은 ‘줄기의 껍질과 속 색깔이 모두 붉다’라는 뜻으로 주로 고산지대에 자라는 상록수다. 3.2㎞로 조성된 발왕산 천년주목숲길을 따라 걷다 보면 1시간 30분 동안 살아있는 이야기를 가진 수많은 주목들을 만날 수 있다. 특히 이 숲길은 동부지방산림청과 평창군, 용평리조트가 협업해 무장애 데크길을 설치, 장애가 있든 없든 모든 국민이 편하게 산책할 수 있다.

‘살아서 천년, 죽어도 천년’을 산다는 주목이 세찬 바람을 맞으며 꿋꿋이 버티고 서 있는 모습이 경이로왔다. 주목숲길의 초입에는 어미와 자식의 사랑을 느낄 수 있는 ‘마유목’을 만날 수 있다. ‘마유목’은 속이 비어 가던 야광나무의 품 속에서 뿌리를 내린 마가목이 일심동체로 서로 의지하며 한 그루처럼 자라나고 있다는 뜻이다. 속이 비어 있어 딱 한 사람이 그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주목에는 ‘고해주목’이란 이름이 붙었다.

강원 평창 주목 군란지에서 바라본 발왕산 전경. (사진=박진환 기자)
나무줄기 속에서 하늘을 보면 뚫린 구멍으로 한 줄기 빛이 들어오는데 모든 근심과 걱정을 놓고 가라는 의미다. 산악인 엄홍길이 고해나무 속에 들어가 두 손을 모으고 있는 사진이 유명하다. 학문의 상징인 서울대 정문을 그대로 닮은 ‘서울대나무’는 수험생과 학부모에게 좋은 기운을 전해줄 듯하다. 또 줄기의 꼬임이 신묘하게도 ‘8’자 모양으로 꼬여 있는 ‘8자주목’, 아버지의 우람한 풍채를 닮은 ‘아버지왕주목’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진 주목을 만날 수 있다.

강원 평창 발왕산 주목숲길 끝 무렵에 있는 샘물 ‘발왕수’ 입구. (사진=박진환 기자)
주목숲길의 끝 무렵에는 산에서 솟아난 샘물로 목을 축일 수 있는 ‘발왕수’를 만날 수 있다. 4개의 꼭지에서 맑은 물이 흘러나오는데 각각 △재물 △장수 △지혜 △사랑이란 문구가 써있다. 조심스럽게 ‘재물’ 발왕수를 마셔보며, 내년에는 뭔가 이뤄질 것 같은 헛된 욕심이 내면에서 꿈틀거렸다.

발왕산 무장애 등산로 풍경. (사진=동부지방산림청 제공)
◇수령 1800년 추정되는 천년고목 등 고목군락지에 조성된 천년주목숲길 인기

산림청은 이 일대 1018㏊ 규모를 발왕산 생태숲이자 대한민국 100대 명품숲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었다. 이 일대는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주목과 분비나무 등 희귀식물이 다수 분포해 생태적 가치도 뛰어난 지역이다. 정부는 세계 최초로 국가지명위원회의 공식 제정으로 발왕산 정산 산봉우리의 명칭을 평화와 번영의 의미를 담은 ‘평창평화봉’으로 확정했다.

산림청은 2021년부터 평창군과 발왕산 숲길 안전관리 및 산림보호를 위한 공동산림사업 협약을 체결해 쾌적하고 안전한 산림생태휴식공간 조성 및 동계올림픽 레거시와 산림자원 브랜드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용평리조트와도 협업해 발왕산 생태숲을 세계적인 생태 공원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국유림을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프로젝트는 전국적인 선도 모델로 각광받고 있다. 지자체인 강원 평창군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2009년 산림수도를 선포한 평창군은 산림청과 함께 산림자원을 활용한 관광클러스터 조성에 공조하고 있다. 단기가 아닌 장기 거점지역 육성을 위해 연속성 있는 산림 관광화에 나선 결과, 대관령을 찾는 방문객들은 2019년 89만명에서 2020년 92만명, 2021년 100만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산림청과 평창군의 협력 모델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자생하는 희귀 생물종을 조사하고, 보전하는 동시에 많은 국민들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는 등 모두가 누리는 산으로의 역할을 주도하고 있는 셈이다. 민간사업자인 용평리조트도 적극 동참하고 있다.

박종철 용평리조트 시설팀 책임은 “스키장 사업만으로는 운영이 힘든 상황에서 사계절 방문객 유치를 고심하던 중에 주목군락지를 중심으로 한 생태관광지 개발에 나섰고, 말 그대로 대박이 났다”면서 “2017년 연간 22만명이었던 방문객이 지난해에는 88만명으로 늘었고, 올해는 100만명이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강원 평창 대관령 특수조림지 전경. (사진=동부지방산림청 제공)
◇1018㏊ 규모 발왕산 생태숲, 국유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프로젝트 선도모델

발왕산 생태숲이 정부와 지자체, 민간사업자가 공조해 성공적인 생태관광지를 조성했다면 산림녹화의 성과물로 전 세계에서 주목하는 숲도 인근에 자리잡고 있었다. 강원 평창의 대관령 특수조림지가 바로 역사의 주인공이다. 이 일대는 일제강점기 당시 목재 수탈로 민둥산으로 오랜 시간 남아 있었고, 1968년 화전민이 들어오면서 황폐화가 심각한 상황이었다.

1960년대에 촬영한 강원 평창 대관령 전경. (사진=동부지방산림청 제공)
이후 1970년대부터 산림녹화 사업이 시작됐지만 영하 30도와 영상 30도를 넘나드는 기온차에 최대 풍속 초속 45m의 강풍은 조림을 어렵게 만들었다. 그러나 최악의 환경을 뚫고 조림에 성공했고, 국내 조림지 중 유일하게 ‘특수조림지’라는 명칭이 붙게 됐다. 1974년부터 1986년까지 이뤄진 조림은 311㏊ 면적에 나무 84만 3000그루를 심었다. 당시 잣나무 등 11만 4000그루의 나무는 강한 바람에 98%가 죽었고, 방풍벽을 세우고 영양분 가득한 논흙을 산에 뿌리는 등 가진 노력 끝에 민둥산은 풍성한 숲으로 변신에 성공했다.

현재 특수조림지 임목축적은 190㎥로 2022년 전국 산림 평균 172㎥ 보다 높다. 임목축적은 1㏊에 있는 굵기 8㎝ 이상 나무의 밀집도를 뜻한다. 대관령 특수조림지는 몽골과 중국은 물론 임업 선진국인 캐나다에서 견학을 올 정도로 한국의 임업 기술이 집적된 지역으로 유명하다.

황창혁 동부지방산림청 산림경영과 주무관은 “평창 대관령 특수조림지의 생산유발효과 총액은 353억원 수준으로 지역 내 비중은 24.2%에 달한다”며 “고용유발효과는 266명이며, 산림의 공익적 가치도 253억원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수십여년간 아무도 모르는 곳에서 헌신한 이들이 있었기에 이제 5000만 국민 모두가 누리는 산을 만들 수 있었다는 사실에 잠시 먹먹한 마음을 안고 대관령을 내려오고 있었다.

강원 평창 발왕산 생태숲 전경. (사진=동부지방산림청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