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들의 시인 김혜순…`몸`으로 詩 하다

김미경 기자I 2023.07.26 07:10:00

시인, 몸으로 말하다
김혜순 황인찬 두 시인의 대화
'김혜순의 말' 펴내
여성으로서 시를 쓴다는 것
남성의 은유 대신 여성의 말 탐구
`시적 통찰의 순간` 펼쳐놓아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혹자는 ‘질문하는 사람’이라고 하고, 어떤 이는 ‘일종의 예언자’라고 했다. 누구는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냐’며 난해하다는 반응을 보인다. 사전적 의미로는 ‘시를 짓는 사람’ 시인(詩人) 얘기다. 시를 쓴다는 것은 사실 ‘설명’을 버리는 일이다. 그런 만큼, 시인을 한마디로 정의하는 데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오죽하면 시작(詩作)의 어려움을 산고(産苦)에 비유할까.

정작 김혜순(68) 시인은 ‘시 쓴다’ 하지 않고, (몸이) ‘시 한다’고 표현한다. 진리로서 굳어진 것, 당연시되는 것, 은유로써 세상을 재현하는 남성적 시 작법의 거부다. 재현의 의지를 가진 남성 시인의 은유와는 다른, 여성 시인으로서의 ‘행함’이라는 게 김 시인의 설명이다.

◇시력 44년 인터뷰집 ‘김혜순 안내서’

한국 현대시의 지평을 넓혀온 ‘시력 44년’ 김혜순 시인의 인터뷰집 ‘김혜순의 말’(마음산책)이 나왔다. ‘문단계 아이돌’이라 불리는 후배 황인찬(35) 시인이 김 시인을 인터뷰한 기록이다. 지난해 1월부터 7월까지 서면으로 주고받은 대화를 엮었다.

‘글쓰기의 경이’라는 부제를 단 책은 육체, 고통, 죽음, 타자성, 억압, 여성으로서의 글쓰기 등 그의 시 세계에서 두드러지는 주제 의식들을 시인의 생애와 겹쳐 살펴볼 수 있는, 일종의 ‘김혜순 안내서’라 할만하다. 김 시인의 삶과 작품 세계가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으며 확장해 나갔는지 엿볼 수 있어 흥미롭다. 읽다 보면 두 시인의 대화를 몰래 엿듣는 기분이 든다.

김 시인은 197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분에 입선하고 1979년 문학과지성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89년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임용돼 2021년까지 강단에 섰다. 최근 10년간 해외 주요 문학상을 가장 많이 수상한 국내 작가이기도 하다. 김수영문학상, 미당문학상, 대산문학상, 캐나다 그리핀 시 문학상, 스웨덴 시카다상, 삼성호암상 예술상 등을 받았다.

◇여성으로서 詩를 쓴다는 것

김 시인은 1979년 등단한 이래 줄곧 ‘여성과 몸의 언어’를 탐구하며 ‘시의 정치성’에 바투 다가섰다. 억눌려 은폐되거나 획득하지 못한 여성의 말이 곧 김 시인의 언어였다. 1980년대 군부 독재 시대에는 ‘장검 대신 깡통 차고 늠름하게 펄럭’이는 허수아비를 비웃었고(‘아버지가 세운 허수아비’ 중|1985·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에서 남성에 비해 늘 차별과 혐오, 폭력과 소외 상태에 노출되어온 여성의 몸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치열하게 시를 썼다. ‘‘시한다’는 것은, 내가 내 안에서 내 몸인 여자를 찾아 헤매고, 꺼내놓으려는 지난한 출산 행위와 다름이 없다.’(시론집 ‘여성, 시하다’ 중|2017·문학과지성사).

인터뷰의 주요 키워드 중 하나는 ‘고통’이다. 고통을 어떻게 사유해야 하는지,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며 살아가야 할 것인지 깊게 고민해 온 시인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김 시인은 시집 ‘죽음의 자서전’(2016·문학실험실)으로 그리핀 시 문학상을 받고 1주일 뒤 어머니를 떠나보냈다. 모친의 부재를 딛고, 시집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2022·문학과지성사)를 냈다. “비탄이 제게 침묵을 요구하기도 했지만, 사람들과 연대하는 게 시인에게 가치 있다고 생각했다.”

◇학창시절·선생·그리고 시인의 역할

시인은 고등학교 시절 친구 ‘명희’네 집의 장서들을 독파한 뒤 “책의 언어들로 (내 안이) 꽉 차고 넘치게 되면서 (글을) 쓸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친구네 집은 세계문학전집부터 사상전집까지 갖추고 있었는데 그 책을 모두 읽은 건 그 집 식구들이 아니라 나였다. 그 책들을 볼 때마다 ‘저 책들은 나의 것이야’라고 생각했다. 시도 읽는 사람의 것이다. 시인은 유령처럼 독자의 시선에서 다시 탄생한다.”

문학청년들에게 시 창작과 시론을 가르쳐온 그에게 선생(先生)이란 ‘먼저 태어난 사람’이라는 글자 그대로의 의미를 넘어 “먼저 죽는 수치를 감당해야 하는 사람”이다. “이제까지 있어 온 것을 말함으로써 그것을 듣는 학생들이 이제까지 없었던 것을 발명하고 발견하도록 장려하는 사람”인 선생은 어쩔 수 없이 자신의 죽음을 학생들에게 보여야 하는 부끄러운 존재라는 것이다.

시인이란 누구인가. 인공지능(AI)의 기술 속도가 인간보다 더 빨라진 오늘날, 시와 시인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는 말에 공감하지 않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인터뷰를 진행한 시인 황인찬은 “우리는 시를 읽고 쓰는 동안 어딘가를 향해, ‘나’를 벗어나 그 너머를 향해 열릴 수 있”다며 “김혜순의 말이 전하는 그 강렬하고 선명한 언어를 깊이 받아들이고, 더 먼 곳으로 나아갈 수 있으리라”고 이야기한다. 김혜순 시인은 책 첫 장에 이런 친필을 남겼다. “문학은 질문이기에, 이 책을 완성한 건 내가 아니다”라고 썼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