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가 그린 문예활동 '서원아집'은 무엇일까[알면 쉬운 문화재]

이윤정 기자I 2024.04.27 07:00:00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 보물 지정
중국 북송대 왕선이 문인들과 즐긴 활동
담론 즐기고 거문고 타는 모습 그려

우리 ‘문화재’에는 민족의 역사와 뿌리가 담겨있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도 있듯이 수천, 수백년을 이어져 내려온 문화재는 우리 후손들이 잘 가꾸고 보존해 나가야 할 소중한 유산이죠. 문화재는 어렵고 고루한 것이 아닙니다. 문화재에 얽힌 재밌는 이야기, 쉽고 친근하게 배울 수 있는 문화재 이야기를 전합니다.<편집자주>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최근 김홍도의 예술세계를 보여주는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이 됐어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은 김홍도가 조선 정조 2년(1778)에 그린 작품이에요. 김홍도의 34세 당시 화풍을 살필 수 있는 기년작(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기록이 있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어요. 1778년 9월에 이 작품이 완성되고 3개월 뒤 스승인 강세황이 김홍도를 최고의 화가를 상징하는 ‘신필(神筆)’이라 칭송한 내용이 담겨 있어요.

주제는 ‘서원아집(西園雅集)’이에요. 17세기 조선에 유입된 명대 구영의 작품 도상을 빌렸으나 버드나무, 암벽, 소나무 등 배경을 과감한 필치로 그려내 공간에 생동감이 넘쳐요. 길상적 의미를 지닌 사슴과 학도 그려 넣어 조선의 서원아집도로 재탄생시켰죠. 중국에서 유래한 화풍을 조선화함으로써 조선시대 회화사의 독자성, 창조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에요. 그러면 작품의 주요 소재가 된 ‘서원아집’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까요.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사진=국립중앙박물관).
‘서원아집’은 중국 북송 영종의 부마(국왕의 사위 또는 공주의 남편)였던 왕선이 1087년경 수도 개봉의 서원에서 소식, 이공린, 미불 등 여러 문인과 즐긴 문예활동을 말해요. 왕선을 비롯해 소식, 채조, 이지의, 소철, 황정견, 이공린, 조보지, 장뢰, 정가회, 진관, 진경원, 미불, 왕흠신, 원통대사, 유경 등 16인(시인 진사도를 넣어 17인이 되기도 함)이 모여 시를 읊고 현금(거문고)을 타고 담론을 즐기거나 석벽(石壁)에 제시(그림이나 표구의 대지 위에 적어 놓은 시문)를 적고 있죠. 당시의 아취(고아한 정취) 넘치는 광경을 모임에 참석했던 이공린과 미불이 글로 쓰면서 남송대 이후 이를 소재로 널리 그려지기 시작했어요.

대체로 화면 형식은 두루마리나 병풍으로 많이 그려졌어요. 글과 그림을 그리는 일련의 인물들을 축으로 그 뒤에 탁상에서 서화를 완성하는 장면, 암벽 앞에 서서 동자를 데리고 시를 새기는 광경, 담소하며 현금을 타는 정경, 그리고 석교 건너편 대나무 숲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을 그리는 것이 보통이에요. 주변에는 소나무와 버드나무, 파초, 매화나무, 학, 사슴 등을 그려 운치를 높였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는 미국 넬슨 미술관에 소장된 남송 화가 마원의 ‘서원아집도’로 알려졌어요. 명대 구영의 ‘서원아집도’도 유명한데요. 구영은 명사대가의 하나로 꼽힐 만큼 뛰어난 그림 솜씨를 발휘한 인물이에요. 그의 ‘서원아집도’에는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쓰고 있는 인물들의 행동이 사실적으로 묘사돼 있어요. 故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이건희 컬렉션에도 ‘서원아집도 8폭 병풍’이 있어요. 문인활동을 즐기고 있는 문인들의 모습이 운치있는 산세와 함께 잘 표현돼 있답니다.

이건희 컬렉션 ‘서원아집도 8폭 병풍’(사진=국립중앙박물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