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기술(IT) 인프라 문제도 있다. ‘깜깜이 유통’, ‘실적 부풀리기’ 등을 실시간으로 손쉽게 잡아내려면 IT 인프라가 필수다. 사업자가 블록체인상에서 유통한 가상자산 물량과 공시한 물량이 일치하는지 등을 실시간 검증하는 게 필요해서다. 24시간 이뤄지는 가상자산 거래 내역에 대한 검증을 사람 수작업에만 의존하는 건 인공지능(AI) 시대에 맞지 않다. 그런데 관련 IT 인프라 대책도 빠졌다.
그러다 보니 업계에선 뒷말이 무성하다. 관련 국제회계기준(IFRS)이 정립돼 있지 않고 정부안에 미비점도 많은데 왜 이렇게 도입에 속도를 내는지 의문이 있어서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코인업계 때려잡기 신호탄이냐’는 시선도 있다. 특히 회계업계에서는 “결국 IT 시스템도 없이 시행했다가 코인 문제가 터지면 회계법인만 독박 쓸 것”이란 우려까지 나온다.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려면 ‘정공법’으로 가야 한다. 글로벌 스탠다드가 될 정도로 정책을 잘 만들어야 한다. 그러려면 향후 2개월 업계 의견수렴이 요식행위로 가선 안 된다. 추가 제도개선으로 외감법 이외 법인도 가상자산 회계·공시를 하도록 해 사각지대를 없애야 한다. 가상자산 허위 공시를 잡아내는 IT 인프라도 시급히 갖춰야 한다. 투자자들 피눈물을 흘리게 하는 코인 사기를 원천 차단하는 빈틈 없는 정책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