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닥벤처펀드를 운용하고 있는 한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는 “소득공제나 공모주 우선배정 등 혜택을 받으려면 펀드 설정 후 6개월 이내에 운용자산의 15% 이상을 벤처기업 신주에 투자해야 하는 조건이 너무 부담스러웠다”며 “첫 6개월은 전환사채(CB) 발행이나 IPO 공모가가 너무 높게 결정되는 부작용이 있었던 만큼 조건을 다소 완화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 역시 “공모주를 더 늘리고 일정부분을 벤처기업 신주에 투자를 해야한다는 가이드라인을 없애야 한다”며 “권장을 한다고 했지만 이게 하나의 족쇄가 될 수 있고, 실제로 벤처기업도 수천억원의 큰 돈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출시 1주년을 맞아 가능하다면 가이드라인을 좀 더 섬세하게 보완할 필요가 있다”며 “예컨대 규모별로 나눠서 일부분은 비상장 기업에 투자하게 하거나, 정말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원한다면 코스닥 상장사에만 투자를 하게 하는 방법 등을 강구해야 하다”고 덧붙엿다.
또 지금보다 더 많은 세제 혜택을 줘야한다고 주장도 나온다. 현재 소득공제는 1인당 3000만원 한도의 10%인 3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다만 3년간 가입기간을 유지해야 한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기업분석팀 부장은 “정부도 벤처기업, 비상장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고 했기 때문에 당연히 유통시장 활성화가 수반돼야 한다”며 “특히 개인들의 투자가 살아나려면 세제 혜택을 좀 더 줘야 한다”고 말했다.
최창규 NH투자증권 팀장도 “리스크를 줄이고 투자자에 대한 혜택을 늘리는 것이 개선방안이 될 것”이라며 “투자자금의 10%를 세액공제 해 줄테니 3년 동안 해당주식을 들고 있으라고 한다면 보유하고 있을 사람이 누가 있겠냐”라며 “다른 유인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스닥벤처펀드의 기본 목표인 중소벤처기업 육성과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금융지원 뿐 아니라 실제 사업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이 더 절실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펀드매니저는 “장기적으로 중소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펀드와 같은 금융적 지원도 좋지만, 뒷단에서 실제 사업에 도움이 되는 규제 완화나 인프라 구축 지원 등이 더 필요하다”며 “가령 신약을 개발한 업체들이 건강보험에 들어가기 위해 과도하게 낮은 약가를 책정받는다든지, 신기술 기반의 IT 사업이 규제 장벽에 가로막힌다든지 하는 일들에 보다 많은 관심을 줘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