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공공언어 쓰기⑬
절름발이 정책, 벙어리 등 혐오 발언 여전
정치인 장애인 편견 조장 발언 없어야
국힘 김예지 의원 대정부질문 좋은 예
자각과 실천 중요, 교육 필요성도 제기
언어(말)는 의사소통의 도구를 넘어 국민의 알 권리와 인권을 실현하는 연장입니다. 특히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공공언어는 국민이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우리말로 써야 합니다. 국민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만큼 일상생활의 질을 좌우한다고 해도 그 의미는 넘치지 않을 겁니다. 이데일리는 문화체육관광부·㈔국어문화원연합회·세종국어문화원과 함께 공공언어의 현 실태를 들여다보고, 총 20회에 걸쳐 ‘쉬운 공공언어 쓰기’를 제안하는 것이 이번 연재의 출발이자 목표입니다. <편집자주>
| 더불어민주당 김은경 혁신위원장이 지난 8월 3일 여의도 당사 앞에서 ‘노인폄하’ 발언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김은경혁신위원회(이하 혁신위)가 최근 활동을 마무리했다. 혁신위는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김남국 의원의 코인투자 논란’ 등에 위기감이 커지자 당 쇄신을 위해 지난 6월 출범했다. 하지만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노인 폄하 발언 등 연이은 논란에 혁신 동력이 떨어지면서 조기 종료됐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서울 성동구 한 카페에서 열린 2030세대 청년들과의 좌담회에서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젊은이들과) 똑같이 표결하느냐”고 발언해 노인 폄하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정치권의 혐오표현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정치인의 장애인 및 약자 비하 혐오 표현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대한민국 국회에서는 툭하면 혐오 발언이 튀어나온다.
지난달 12일 열린 실업급여제도 개선 공청회에서는 실업급여가 ‘시럽(syrup)급여’가 됐다. 노숙자 느낌(세월호 참사), 빈곤 포르노(동남아시아 순방), 시체 팔이(이태원 참사), 마약 도취(패스트트랙 처리), 돌팔이 과학자(후쿠시마 오염수), 절름발이 정책(국회 기재위 전체회의) 등. 정치권의 막말 리스트를 떠올려보면 참담한 수준이다.
|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
|
정계에 따르면 국회에서 발언한 ‘절름발이’ 표현 건수만 따져봐도 16대 60건, 17대 40건, 18대 34건, 19대 52건, 20대 38건에 달했다. 일부 공문서에는 ‘자매결연’(→상호결연)과 ‘미혼모’(→비혼모), ‘불우이웃’(→어려운 이웃) 등 차별어 사용이 여전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성과 막말이 오가는 국회에서 여야 의원들의 기립박수를 받은 의원이 있다.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6월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시각장애인 의원으로는 처음 단상에 올라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김 의원은 이날 마지막 발언을 통해 환경에 따라 크기가 달라진다는 물고기 코이의 이야기를 소개하며, 정부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게 기회의 균등 속 재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무리한 막말이나 저급한 언어 사용 없이 법률적 문제점과 예산 부족 문제를 논리적으로 질의해 여야 정치인은 물론 정치 평론가 및 여론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국어 전문가들은 “그동안 마땅히 질문하고 답을 듣는 자리에서 상대방을 악마화해 주목받았던 정치권은 이제 바뀌어야 한다”며 “차별 않기 위해서는 차별어가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요할 뿐 아니라, 이를 쓰지 않겠다는 화자들의 의지에 달렸다. 정치인들이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조장하는 혐오 및 차별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도록 개개인의 자각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이 지난 6월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대정부 질문을 하고 있다. 김 의원 옆은 안내견 조이(사진=연합뉴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