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윈드와 KB증권에 다르면 현재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은 총 283곳이다. 시가총액은 지난 22일 종가 기준 1189조원으로 홍콩 증시 시가총액의 19%를 차지한다. 중국 정부는 해당 기업들이 상장폐지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는 이슈를 단기적으로 해소하려는 분위기지만, 미·중 갈등 심화로 어려울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지난 17일 ‘중국 국내 기업, 역외 증권 발행 및 상장 관리 방식 행동 방법’을 발표했다. △직접·간접 상장에 대한 통일된 관리 방안 △모든 기업이 국가 안보에 해당하는 항목을 사전에 검토받아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중국 금융당국은 그간 간접 상장이라는 단어를 언급하지 않았다. 간접 상장에는 중국 정부가 민감 업종으로 분류한 산업(중국 상장 시 외국자본의 지분 보유를 허용하지 않는 플랫폼 등) 에 해당하는 기업들이 해외에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해 우회 상장하는 구조가 포함돼 있다.
박수현 KB증권 연구원은 “시장에서는 직접 상장과 간접 상장을 금융당국이 직접 정의하고, 두 방법의 상장 기준을 통일시키면서 간접 상장을 허용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하지만 1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플랫폼은 해외상장 시 국가 안보 관련 검토를 거쳐야 하는 규제안은 여전히 유지 중”이라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미국 증시 상장 중국기업에 대한 미국 정부의 압박을 단기적으로 완화하기 위해 여러 조치를 발표하고 있다. 다만 민감한 영역에 대한 데이터는 미국 측에 공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가 국유기업에 글로벌 4대 회계법인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언스트앤영(EY), KPMG, 딜로이트와의 계약을 중단할 것을 지시했다는 내용도 보도됐다.
박 연구원은 “중국은 중장기 관점에서는 여전히 미국 증시 상장에 부정적인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은 미·중 갈등을 의식해 미국이 중국기업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올 하반기엔 2024년 대만 총통선거, 미국 대선을 앞두고 중국 기업 블랙리스트 추가, 상장폐지 압박 등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 연구원은 “연초 이후 높은 반등을 보였던 홍콩 증시, 홍콩 주식 비중이 높은 MCSI 차이나에는 부담스러운 이슈”라며 “하반기에 가까워질수록 이러한 정치적 이슈로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판단”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