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링컨 지명자는 외교안보 분야 베테랑이다. 바이든 당선인이 상원 외교위원장이던 2002년부터 핵심 참모로 일해 왔다. 2008년 바이든 부통령 시절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냈고,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에게 발탁돼 2013년부터 백악관 국가안보부보좌관과 국무부 부장관을 연이어 역임했다.
그의 견해가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안보정책에 반영될 공산이 큰 만큼, 과거 발언이나 행보들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그는 기고문이나 인터뷰 등을 통해 “북한을 쥐어짜 협상 테이블로 나올 수 있게 진정한 (대북) 경제 압박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해와 향후 제재를 통한 대북 압박에 나설지 관심이다.
|
그는 당시 이 특강에서 “대북정책과 관련해 비핵화가 최대의 이슈”라며 “북한이 국제사회에 대해 비핵화 의무를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북한 문제에 실제로 개입할 여지가 있냐’를 묻는 질문에는 “북한이 진정 비핵화에 나설 생각이 있다면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이란과의 핵 협상 타결(JCPOA), 쿠바와의 관계 정상화, 베트남과의 관계 개선 등을 예로 들었다. 그러면서 북한의 인권침해사례 수집을 지지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대북 강경파로 분류되면서 선(先) 비핵화 조치를 강조하고 있어 전략적 인내 노선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블링컨 지명자는 지난 9월 미국 CBS 인터뷰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세계 최악의 폭군’이라고 칭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을 두고선 “세 번의 공허한 회담”을 했다고 지적했다.
다만 꼭 과거의 기조를 유지하려 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2018년 북한이 미국과의 첫 정상회담을 치렀던 전례가 있는 만큼 새로운 대북 접근법을 모색할 수 있다는 얘기다.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북한 비핵화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바이든 행정부의 ‘이란식 해법’ 추진 여부에 주목한다. 블링컨 지명자는 바이든 부통령 시절 이란 핵 합의를 체결한 주역이다. 지난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칼럼에선 “이란 핵 합의에서 북핵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그는 “북한과도 북핵 프로그램에 대한 전면 감시에 나서고, 이란 방식을 통해 비핵화를 제한해야 한다”며 협상 유도를 위한 단계별 접근과 다자 공조를 제시했다.
우리 정부는 윤곽을 드러낸 바이든 외교안보팀에 낙관하고 있는 모습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과거 어떤 발언에 기초해 너무 우려하거나, 그것을 기정사실로 하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으면서 “블링컨 지명자 같은 경우 한미관계는 물론 한반도 문제 등에 이해가 깊은 인사로 차기 행정부에서도 굳건한 한미동맹이 더욱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대북 공조에서 한미 간 온도차를 보일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동맹국과의 협력을 중시하는 ‘동맹파’라는 점, 남북미 관계 재정립 과정에서 절대 호락호락하지 않는 ‘강경파’라는 게 워싱턴 외교가의 대체적인 평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