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위기에 처한 스타트업들을 살리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코로나19로 여행·레저 분야 스타트업뿐만 해외가 무대인 업체들도 매출이 90% 이상 떨어지는 등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새로운 서비스를 내놔도 당분간 실적을 올리기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전망도 어둡다”고 진단했다.
무엇보다 최 대표는 코로나19 확산이 개별 기업에 타격을 줄 뿐만 아니라,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스타트업의 성장은 영업을 통한 이익 상승이 아니라, 얼마나 적시에 투자를 받아 서비스·제품을 개발하느냐에 달렸다”며 “그런데 코로나 확산 이후 신규 IR(투자설명회)은 전혀 진행이 안 되는 상황이고, 기존 투자를 논의하던 투자사와도 교류가 중단되거나 심지어 아예 밸류에이션(기업가치)을 다시 논의하자는 벤처캐피털(VC)도 많다고 한다”고 했다.
또 “이미 투자를 많이 받은 곳은 그나마 버틸 체력이 있지만, 기존 투자가 적은 초기 단계부터 시리즈A에 해당하는 스타트업들이 자금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초기 단계에 있는 기업들이 죽으면 결국 향후 유니콘(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싹이 모두 사라지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 대표는 우선 코로나19 확산으로 쪼그라든 민간 투자 심리를 살리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서 민간 투자자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열어줘야 한다는 것이 최 대표의 진단이다.
그는 “스타트업은 신용보증재단이나 기술보증기금 등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보증프로그램을 통해 자금을 수혈해야 하는데, 기존 보증이 있거나 몇 해 연속 적자를 기록한 스타트업들은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 자금 조달이 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올해 모태펀드에 함께 출자한 VC에 대해 자금 조기 집행 독려를 한다면 위축된 투자 심리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민간 투자자들이 움직이려면 정부가 ‘일부 손실을 감수하겠다’는 구체적인 방안이 나와야 한다. 우선 정부 자금을 긴급히 동원해서 스타트업들이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게 지금 상황에서 가장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최 대표는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민간 투자자 입장에서는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지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투자 활동을 강요할 수는 없다”며 “모태펀드에 출자를 했다고 해도 펀드 운용사마다 각자 기준이 있기 때문에, 우선 정부가 ‘스타트업이 위기다’라는 공감대를 민간 투자업계와 형성하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최 대표는 “스타트업을 위한 전용 자금 지원 방안도 고려해볼 만하다”며 “올해 국회를 통과한 ‘벤처투자촉진에 관한 법률’ 같은 정책적 수단도 있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벤처투자 부문의 심리 회복을 위한 다양한 유인책을 정부가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