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부부가 살기에 적정한 생활비로 일반인과 부자간 세배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은 국민연금이나 노인연금 등 받아서 살고 부족하면 또다시 일자리를 구하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지만 부자는 부동산 투자해 월세 받거나 자산 잘 굴려 현금흐름을 창출하겠다는 이들이 많았다.
6일 KB경영연구소의 ‘2017 한국 부가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인 부자들은 은퇴 후 ‘적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생활비를 가구 기준 월평균 약 717만원, 연 8604만원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초고액자산가인 금융자산 30억원 이상 부자는 1010만원을 적정 생활비로 생각했다. 연 1억2120억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반면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가 지난달 40세 이상 중 장년 회원 1136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일반인의 적정생활비는 월 279만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조사에서도 비슷하다. 통계청의 ‘2016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서도 지난해 3월 기준 최소 생활비는 183만원, 적정 생활비는 264만원으로 집계됐다. 대략 260~280만원 정도는 있어야 마음 편하게 노후생활을 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부자와 비교할 때 대략 3분의 1 수준이다.
은퇴 후 생활비 조달에 대한 해결법도 달랐다. 통계청이 실제로 은퇴한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본 결과 생활비 마련 방법으로 3분의 1가량이 기초생활보장 급여 같은 공적 수혜금을 꼽았다. 다시 일하겠다는 이들도 많다. 전경련 조사에서는 절반 이상인 59.1%가 은퇴 이후에는 ‘재취업’을 통해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나 부자들은 은퇴 준비 방법으로 43.2%가 부동산을 꼽았다. 임대소득을 누릴 수 있는 빌딩이나 상가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예·적금 및 보험(17.7%), 사적연금(12.8%), 직간접투자(13.8%) 등 자산을 굴려서 노후를 대비하겠다는 답이 많았다.
부동산 투자에서도 부자들은 일반인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첫 부동산 투자부터 ‘통’ 크게 투자해 수익률을 높였다. 신한은행이 지난 3월 발간한 ‘2017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서 1990년 이전 부동산을 처음 사들인 응답자는 평균 5272만원에 샀고 2010년 이후에는 평균 1억7117만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는 현금과 예·적금으로 48.9%를 보유해 절반 가까이 안전자산에 묻어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으로 20.4%를 굴렸고 투자·저축성보험(13.2%), 펀드(8.4%) 등도 활용했다. 아무래도 현금과 예금으로 갖고 있으면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고 유망한 투자처가 보이면 바로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동성도 높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KB경영연구소는 “부자들은 금융 환경과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유동성을 확보하는 한편 꾸준히 자산 포트폴리오 조정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의 포트폴리오에서 투자용 부동산과 주식 비중을 늘리겠다는 의향을 갖고 있어 부동산 경기 회복과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