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29일 전북 진안군의 한 건설현장에서 근로자 2명이 이동식 사다리를 들어 올리다가 특고압전선(22.9kV)에 감전당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크게 다쳤다. 감전재해 예방을 위한 전선로 절연용 방호구 설치, 고압선로 안전조치 부재가 낳은 인재(人災)다. 지난 1월 31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증·개축 공사 현장에서는 소형굴삭기가 내부 해제작업을 하던 작업자 위로 벽체가 떨어져 1명이 사망했다.
안전보건공단 관계자는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는 작업을 할 때는 안전모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고 건물 벽체 해체작업 시에는 반드시 작업장에 대한 사전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난해말까지 5년간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자수는 모두 11만 5904명이다. 이중 2634명이 사망했다. 한해 527명 가량이 건설현장 산재로 목숨을 잃는다는 얘기다.
산재 위험지대인 건설현장에서 1년 넘게 무사고를 기록하고 있는 사업장이 있다. 두산건설이 짓고 있는 서울 중랑구 서일대 강의동 증축공사장이다. 두산건설은 이곳에서 작년 10월 23일 착공 이래 403일째 무사고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 소통이 안전을 만든다
서일대 강의동 증축공사장 관리직원 13명이 가입해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현장에 전선이 노출돼 있으니 조치바랍니다”라는 건의와 함께 사진 한 장이 올라왔다. 다음날 박성배 안전관리소장은 ‘전선 노출 보수조치 완료했습니다’라는 답글과 함께 말끔히 정돈된 현장 사진을 올렸다.
|
두산건설은 매주 현장 근로자들에게 안전사고 사례지를 나눠주고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경험을 한 경우 이를 기재해 안전관리자에게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보고받은 안전사고 유발 사례는 곧바로 시정조치한다.
현장 근로자가 ‘안전 발판이 미비해 자재 정리정돈을 하다가 넘어질 뻔했다’고 사례지에 적어 신고하면 신속히 문제점을 파악해 안전 발판을 보완하는 식이다. 직원들이 직접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화 깔창을 갈아주는 행사를 진행하는 등 두산건설이 직원들과 현장 근로자간의 소통에 노력해온 덕에 안전사고 신고는 올해만 60여건이나 된다.
◇ 실전같은 훈련으로 비상사태 대비
|
두산건설 관계자는 “밀폐공간 작업과 같이 고령자에게 위험한 작업일 때는 안전관리소장이 안전모 마크를 보고 작업에서 배제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서일대 강의도 증축공사 현장에서는 올해 들어서만 3차례나 비상훈련을 벌였다. 실전같은 훈련을 통해 대응 능력을 키우는 한편 긴급상황 발생 시 부족한 점이 무엇인 지 살펴 보완한다.
지난 1월 화재진압 훈련 때는 80m짜리 소방호스로는 화재 대응이 어렵다는 사실이 드러나 100m짜리 소방호스를 새로 구입했다.
이영순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은 “작업 시작 전에 안전점검만 제대로 해도 산재를 절반은 줄일 수 있다”며 “사업주가 앞장 서서 근로자들이 충실히 안전점검을 하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