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을 조간들이 먼저 살려놨다. 퇴출기업 명단이 발표되는 3일, 이날자 종합·경제지 대부분은 ‘현대건설 조건부 회생’을 1면 제목으로 뽑았다. 부제목은 50여개 명단발표 또는 정몽헌회장 귀국, 자구안 마련 등이었다.
3일 채권단회의에서 정리여부가 결정되는 쌍용양회도 살리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조간 1면에는 전날 정치권에 대파장을 일으킨 실세 KKK(권노갑-김옥두-김홍일) 파문도 크게 실렸다. 한나라당이 검찰 국감에서 이들과 박준영 청와대 공보수석 등 여권실세들이 정현준 사설펀드에 가입했다는 주장을 폈고 이에 대해 여권은 발끈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언론이 현대건설을 살리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은 일단 상황변화에 기인한 듯하다.
현대는 그동안 보여왔던 행태와 하나도 다르지 않게 정몽헌회장이 급거 귀국, 정부 고위당국자를 만나거나 가족회의를 여는 모습을 보였다고 조간들은 전하고 있다. 전날 건설이 보유한 상선지분을 일부 팔아 유동성 확보와 계열분리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채권단도 시장이 신뢰할만한 자구만 받아내면 굳이 현대를 법정관리에 넣을 이유는 없다는 것이 조간들의 공통된 판단인 것 같다. 채권단이 당초 자구안에서 미진한 부분인 4000억원의 추가자구를 전제로 일단 회생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의 자구안 배경에 대해서는 시장과 정부의 강경방침에 현대가 백기를 들었다고 풀이했다. 현대는 강경방침에 백기를 들기도 참 많이 들었다.
쌍용양회와 건설, 해운, ㈜쌍용 등 쌍용 4개사도 회생이 유력하다고 대부분이 전망했다.
일부 조간은 이번 부실판정 결과에서 이미 법정관리를 신청한 동아건설외에 눈에 띄는 대기업이 없다는 점을 들어 정부와 채권단이 시장충격 완화를 위해 다시 대마불사를 택한 것이 아니냐고 지적했다.
매경은 생각만큼 잔인한 11월이 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썼고 국민일보는 부실기업 판정이 용두사미로 끝날 가능성에 대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경제는 퇴출대상들이 사실상 이미 죽은 기업들이고 관심을 끈 대기업들이 거의 살아남에 따라 시장의 반응이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다고 썼다.
하지만 채권단회의가 이날 오후 3시에 열리는 마당에 현대건설은 살린다는 내용을 똑같이 1면 머릿기사로 올린 것은 언론 역시 대마불사의 관념을 크게 탈피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다.
조선은 현대건설과 쌍용양회의 처리에 미치는 정치적 변수를 짚었다. 현대건설의 경우 대북경협의 주역이라는 점이, 쌍용은 TK그룹이라는 점에서 지역정서 문제가 변수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는 주장을 전했다.
동아는 신화건설과 서한 등 30여곳이 퇴출되고 고합, 진도 등 20여곳은 매각이나 합병대상이라고 보도했다.
이밖에 조간들은 덩치 큰 관심기업 10~20개에 대해 표까지 곁들여 생사여부를 분석했다. 한겨레는 퇴출기업의 1/4이 건설업체라고 지적했다.
‘피말리는 심정’. 퇴출대상으로 거명되고 있는 기업들의 반응은 이 정도로 전해졌다. 큰 회사들이 줄줄이 회생판정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힘없는 회사만 당한다는 불만도 고조되고 있다고 조간들은 전했다.
은행들의 경영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이 쏠렸다. 전날과 거의 비슷하게 조흥-외환은 살리고 한빛-평화-광주-제주는 지주회사 자회사로 묶일 것이라는 전망들이다.
당초 3일 금감위에서 결정할 예정이었던 6개 은행 경영개선계획 최종 승인여부는 7~8일로 미뤄졌다. 부실기업 정리에 따른 추가손실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 이유.
동아일보는 동아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에 따라 9개 은행이 총 2518억원의 추가부담을 지게됐다는 소식을 전했다. 퇴출대상에 큰 기업은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이번 부실기업 정리는 은행권과 2차 은행구조조정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밖에 조간들은 전날 대검찰청 국감에서 한나라당 이주영 의원이 권노갑, 김옥두, 김홍일 의원과 박준영 청와대 공보수석 등 여권실세의 정현준 사설펀드 가입의혹을 실명으로 제기, 파문이 일고 있다는 소식을 비중있게 전했다. 검찰총장이 직접 명단을 가져와 이들 거론된 사람들의 이름이 없다고 답했지만 정치권에서는 당분간 이 문제가 최대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