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정부기관 중 가장 국민 신뢰도가 낮은 기관은 국회(24.1%)였다. 국민 4명 중 3명 이상이 국회를 신뢰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이는 지난해(34.4%) 보다 10.3%포인트나 하락한 수준이다. 국회에 대한 신뢰도는 지난 2016년 12.6%에서 2018년 15.0%, 2020년 34.4%로 꾸준히 높아졌지만 지난해 10%포인트 이상 대폭 깎였다. 지난해 12월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여론조사기관이 공동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3.1%포인트)에도 국회 신뢰도는 15% 전체 기관에서 꼴찌를 기록했다.
|
한국갤럽이 지난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회의원 정수를 줄여야 한다’는 응답은 57%로 과반이었다. ‘현재가 적당하다’는 응답은 30%, ‘제도 변경에 따라 국회의원 정수를 늘려도 된다’는 응답은 9%에 불과했다. 4%는 의견을 유보했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의원정수 확대에 국민의 반대가 큰 이유는 국회의원 ‘특권’에 대한 거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꾼’이 아닌 ‘상전’을 모시고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이종훈 시사평론가는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머슴 숫자가 늘어나면 국민이 왜 싫어하겠나. 그런데 상전이 늘어나면 반대할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이 평론가는 “특권을 줄이고 예산을 동결하면 국회의원을 두 배 늘려도 국민들이 뭐라고 하겠나”라고 지적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특권을 내려놓겠다고 한 상태에서 논의를 해보자고 제안해야지, 특권을 내려놓을 생각은 하나도 없이 의원정수만 확대하자고 하니 국민 반발이 심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 여야의 대치 국면 속 국민들의 정치 혐오가 갈수록 커지면서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도 대폭 늘었다. 한국갤럽이 진행한 3월 넷째 주(3월 21일~23일) 여론조사에서 현재 지지하는 정당을 묻는 질문에 자신을 ‘무당층’이라고 답변한 응답자는 25%로 집계됐다. 지난해 대선 직전 조사에서 무당층 비율이 14%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약 두 배가량 증가한 셈이다. 다른 대부분 조사에서 비슷한 양상이 그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