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이데일리가 재임 기간이 1년6개월 넘은 국무위원을 파악한 결과 총 12명에 달했다. 문재인 정부 원년 멤버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3년4개월로 재임 기간이 가장 길었다. 이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3년4개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3년3개월)이 재임 기간 ‘톱3’에 포함됐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각각 2년), 조명래 환경부 장관(1년11개월),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각각 1년6개월)도 1년6개월 이상 장관직을 수행했다.
부총리들도 연말이면 재임 기간이 2년을 훌쩍 넘어선다. 그동안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년,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년10개월간 전방위로 정책 조율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18년 12월11일 취임한 홍 부총리는 윤증현 전 장관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오래 재임한 기재부 장관으로 이름을 올렸다.
‘장수 장관’이 늘자 관가 안팎에서는 개각 대상·시기·규모를 놓고 소문이 무성하다. 내년 4월7일 서울·부산시장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국무위원 중 출마자가 나오면 장관 인사가 불가피하다. A 부처 국장은 “부처마다 인사적체가 심한데 마음이 콩밭에 가 있거나 조용히 묻어가려는 말년 장·차관은 이참에 빨리 인사를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쇄신 인사로 ‘물갈이’를 하는 게 필요하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한국갤럽이 지난 23일 발표한 10월3주차(20~22일) 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해 응답자 45%는 ‘잘못하고 있다’, 43%는 ‘잘 하고 있다’고 답해 ‘데드 크로스’가 발생했다.
장덕현 한국갤럽 연구위원은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나온 것은 부동산 정책, 경제·민생, 인사 문제 때문”이라며 “앞으로 경제부처 등에서 누가 후보자로 임명돼 청문회에 오를지도 여론 추이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
특히 경제부총리 자리는 청와대 인사와도 맞물릴 수 있어 관심이 높다. 앞서 청와대는 국감 직후인 2018년 11월9일 ‘김&장(당시 김동연 경제부총리·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을 동시에 교체하면서 홍 부총리를 지명했다. 홍남기·김현미·김상조 등 경제팀 전원이 교체 없이 갈지, 당·정·청 경제팀 멤버와 호흡을 맞출 새로운 인사를 임명할지가 관심사다.
관가에서는 홍 부총리(60·행시 29회) 후임으로 고형권(56·행시 30회) 주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한민국대표부 대사, 구윤철 국무조정실장(55·행시 32회), 김용범 기재부 1차관(58·행시 30회), 노형욱 전 국무조정실장(58·행시 30회),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55·행시 32회)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고형권 대사, 구윤철 실장, 노형욱 전 실장은 김동연 전 부총리와 홍 부총리처럼 EPB(경제기획원) 출신이다. 구 실장과 노 전 실장이 이들 전·현직 부총리처럼 국무조정실장을 맡은 동안 고 대사는 OECD 등 해외로 보폭을 넓혔다. 김용범 차관은 재무부, 이호승 수석은 재정경제원 출신이다. 김 차관과 이 수석은 ‘거시경제통’이어서 올해 코로나19 경제위기 때 소방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전문가들은 유임이든 교체든 민생경제에서 성과를 낼 인사가 장관직을 수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문재인 정부 국정기획위원을 역임한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깜짝 발탁하기보다는 관료 출신으로 함께 일했던 인사가 경제부총리로서 일하게 될 것”이라며 “누가 되든지 코로나19 경기 대응, 한국판뉴딜 업그레이드 등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하고 차기정부로의 교두보 임무를 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제부총리 유임이든 교체든 경제정책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며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고용 구조개혁, 적극적인 규제 혁신, 실효성 있는 재정준칙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