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주] 국내 거주 외국인을 포함해 총 1001만3781명(2020년 1분기 기준)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서울시. 하루 평균 159명의 신생아가 태어나고, 124명이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합니다. 또 142쌍이 부부의 연(緣)을 맺고 46쌍이 이혼하는 현실도 벌어집니다. 바쁜 도심 속에서 지하철과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시민은 하루 평균 1189만8000여명에 달합니다. 대한민국의 교통·문화·교육·상업·첨단 산업의 중심지인 서울에서는 하루에도 다사다난한 일들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이데일리는 서울에서 벌어지는 한 주간 주요 이슈와 정책을 살펴보고, 서울 시민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사를 연재하고자 합니다.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국내 배달업계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커지는 가운데 박원순 서울시정이 소상공인 업체의 배달수수료 부담을 확 낮춘 ‘제로배달 유니온’을 출시하기로 해 관심을 끈다. 앞서 이재명 경기지사가 배달앱 시장의 거대사업자인 ‘배달의 민족’과 전쟁을 선포하며, 공공배달앱을 만든다고 밝힌 직후라 둘 사이의 미묘한 신경전마저 감지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영향으로 수혜를 톡톡히 입은 제로페이가 ‘박원순표 배달앱’의 흥행으로 서울시의 대표적인 결제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2%. 제로배달 유니온이 본격 출범하면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배달 중개수수료 부담이 2%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배달앱과 제휴을 맺은 소상공인 업체의 광고·수수료를 합한 배달 중개수수료 부담이 기존 6~12%였다면 점을 감안하면, 이 부담이 4~10%포인트까지 뚝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자연스레 소비자들의 배달비 부담도 낮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10개사. 이번 제도에 참여하는 배달 플랫폼 회사는 △엔에이치엔페이코(페이코) △리치빔(멸치배달) △만나플래닛(만나플래닛) △먹깨비(먹깨비) △스폰지(배달독립0815) △위주(놀장) △질경이(로마켓) △특별한우리동네(주피드) △허니비즈(띵동) △KIS정보(스마트오더2.0) 등 10개사다. 이들 업체는 모두 중소 배달 플램폼 회사다. 현재 배달앱 시장은 독보적인 1위 업체인 배달의 민족과 2~3위 업체인 요기요·배달통이 전체 시장을 과점하고 있다. 이런 틈새를 뚫고 중소 배달 플랫폼사가 성장하려면 낮은 중개수수료 등을 바탕으로 제로페이 가맹점인 소상공인업체를 얼마나 끌어들일 수 있느냐가 관건으로 보인다. 이 역할은 서울시가 맡게 된다.
25만개. 현재 서울 시내 제로페이 가맹점 수다. 오는 9월부터 시와 제휴를 맺은 10개 배달앱에서 서울사랑상품권(제로페이)을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서울사랑상품권의 인기가 높아지자 상품권 사용처를 기존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으로 확대한 것이다. 기존 배달앱에 결제방식만 새롭게 추가하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쓰던 앱 그대로 서울사랑상품권만 선택해 결제하면 된다. 10개 배달앱 회사는 제로페이 가맹점 확보로 마케팅·투자 비용을 절감하는 대신 소상공인 가맹점이 배달업체에 내는 중개수수료를 인하할 수 있게 된다.
20조원. 국내 배달시장 규모는 2018년 3조원에서 2020년 이후에는 연간 20조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서울시는 추정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거대한 일부 사업자가 배달시장을 과점하면서 높은 광고료 및 중개 수수료 등을 책정해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판단, 배달 시장에 뛰어드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늘고 있다. 다만 시민들의 세금인 예산을 투입하거나 일부 공공 정책과 연계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과도한 민간시장 개입이라는 지적의 목소리도 나온다. 앞으로 배달앱 시장이 어떻게 재편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