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국거래소 자료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총 10차례의 총선거와 중간선거를 보면 공화당이 원내 다수 확보에 성공한 해의 S&P500 지수 수익률은 평균 -0.72%로, 민주당의 -12.45%를 앞선다. 대선도 공화당 소속의 대통령이 당선된 해의 평균 상승률(2.8%)이 민주당 소속 대통령이 당선된 해의 평균(-12.55%)보다 높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사례에 비춰보면 공화당이 감세 등 친기업적인 성향의 정책을 보여주고, 확장적인 재정 정책에 나서는 경향도 있어 시장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통상 보수 성향의 정당은 분배보다 성장에 방점을 두기 때문이다.
또한 미국증시는 정당의 정책적 성향뿐만이 아니라 주요 인사들의 정책 및 공약에 따라 수혜 및 피해 업종이 갈릴 수 있다. 특히 올해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을 앞둔 엘리자베스 워런, 버니 샌더스 등은 같은 민주당 소속의 조 바이든보다 좌파적인 성향으로 분류돼 시장에 불확실성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평가된다. 조 연구원은 “워런과 샌더스는 약가 인하, 부자 증세와 페이스북 등 IT 재벌 해체 등을 주장하고 있어 이들의 공약이 현실화할 경우 제약 업종, IT 업종 등은 하락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정책에 따라 증시가 움직이는 만큼이나 증시가 선거에 끼치는 영향도 크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이를 의식해 올해 재선과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연일 지난해의 ‘랠리’를 치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집권 3년째인 지난 2019년의 S&P 500지수 상승률은 28%로, 미국 역대 대통령들의 3년차 평균인 13%를 두 배 이상 앞섰다.
이런 미국시장에서도 가장 최근 대선인 지난 2016년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내각에 선임될 확률이 높은 인사들과 관련된 종목들이 주가 상승을 보였다. 당시 미국 경제매체 CNBC는 2016년 당시 ‘트럼프 내각 지수(Trump Cabinet Index)’라는 이름으로 트럼프 내각에 선임될 가능성이 큰 인사들과 관련 있는 기업 15개로 구성된 지표를 만들어 분석했다.
‘트럼프 내각 지수’ 구성 종목에는 철강업체 아르셀로미탈, 군수업체 제너럴 다이내믹스, 석유업체 엑손모빌 등이 포함돼 있다. 아르셀로미탈은 윌버 로스(현 상무부 장관)가 사외이사를, 제너럴 다이내믹스는 제임스 매티스 (전 국방부 장관)가 이사를 지냈다. 엑손모빌은 전 국무장관인 렉스 틸러슨이 CEO를 맡았다.
이 ‘트럼프 내각 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이 확정된 2016년 11월 8일(현지시간) 이후 내각 윤곽이 대략 정해진 12월 18일까지 한 달여간 14% 상승했다. 같은 기간 S&P500 지수 상승률 6%과 비교해 두배 이상 오른 것이다.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자체가 이례적이었고, 선거 캠프와 내각에 기업인사들을 대거 등용한 첫 사례인 만큼 일반적인 현상은 아니다”라고 짚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은 기관투자자 비중이 높고, 퇴직연금 자금이 그중 절반 가량 되는 것으로 추정돼 정책에 따른 수혜주가 대부분을 차지한다”며 “국내 코스닥시장도 기관비중이 최소 30% 이상 된다면 개인투자자들의 테마주 현상은 완화될 개연성이 있다”고 짚었다. 향후 퇴직연금 확대에 따른 기관투자자의 매수 여력 확대가 급등락하는 테마주 완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