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실버세대의 문화낙원을 꿈꾼다' 김은주 추억을파는극장 대표

박경훈 기자I 2017.02.22 05:00:00

추억을파는극장, 세계 최초의 실버영화관
지난해 연인원 19만5000명 관객 유치
스카라극장 폐쇄…고용 승계 위해 실버영화관 시작
실버 위한 사회적 문화기업으로 발돋움 중

김은주 추억을파는극장 대표는 “고전영화라 해서 닥터지바고, 사운드오브뮤직같은 영화를 그냥 상영하는 게 아니다”며 “1000만~2000만원의 돈을 주고 필름 계약을 맺는다”고 말했다. (사진=방인권 기자)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어르신들이 영화를 보시고 ‘진짜 재미있다’, ‘고맙다’며 사탕이나 과자를 주시는데 이때가 가장 보람을 느끼는 순간이에요.”

서울 종로구 낙원상가 내 ‘추억을파는극장’에서 만난 김은주(43) 대표는 세계 최초로 실버영화관을 연 혁신가이자 사회적 기업가다. 2009년 처음 문을 연 300석 규모의 실버영화관은 지난해 연인원 19만5000명의 관객을 유치해 서울의 대표적 실버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21일 오후 2시, 실버영화관의 암막을 살짝 열고 들어가니 200여명이 넘는 노인들이 2차 대전을 배경으로 한 1943년 작(作) ‘데스티네이션 도쿄’에 몰입 중이었다. 김 대표는 “영화관 특성상 낮부터 관객들이 항상 가득찬다”고 설명했다.

◇노는 것 좋아했던 청년…공기업 직원에서 영화관 마케터로

김 대표는 자신을 “여느 또래처럼 나이트클럽에서 노는 것을 좋아하는 청년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대학 졸업 후 그의 첫 직장은 한국전력(015760) 사무직. 공기업 특성상 지루한 업무의 반복이 이어졌다.

2년이 지난 어느 날 회사 선배가 그에게 외환카드에서 영화마케팅 자리를 추천했다. 김 대표는 “한전이라는 직장에 연연해 하지 않았다”며 “여성·사무직의 한계가 뚜렷이 보이는 조직에서 머무느니 도전을 선택했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어르신들이 공연을 빙자한 물품 구매 사기에 당하는 이유가 분명 있을 것”이라며 “송해, 최주봉, 남보원 등이 출연하는 공연을 시도하며 노인층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중”이라고 말했다. (사진=방인권 기자)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카드대란이 터지며 관련 업무는 개시조차 못하고 흐지부지됐다. 김 대표는 이곳에서 준비했던 것을 토대로 콘도회원권과 영화관(시사회)티켓을 연계한 마케팅 사업을 진행한다. 지금은 없어진 서대문 화양극장에서 시작한 시사회 대관 사업은 ‘대박’났다. 김 대표는 “당시 영화계에서 ‘김은주’를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며 “2000년대 GS칼텍스의 지원을 받아 스카라극장에도 영화관 임대, 마케팅 사업을 진행했다”고 돌이켰다.

그러나 단관극장의 시대는 저물고 있었다. 서울의 대부분 영화관이 멀티플렉스로 전환됐다. 이에 더해 2000년대 중반 문화재청은 스카라극장을 등록문화재로 지정하려 했다. 당시 건물주는 문화재 지정 전 영화관을 철거한다. 김 대표는 함께 일했던 동료들의 고용승계를 위해 낙원상가에 있던 예술영화관을 임대한다. 그는 “당시 임대조건이 파격적이었다”며 “예술영화관도 경영난을 겪다 보니 저와 뜻이 맞았다”고 회고했다.

◇고용승계 위해 시작한 실버영화관…20만 실버의 명소로

정작 경영을 시작했지만 어떻게 이 공간을 이용할지 고민이었다. 김 대표는 “주변에 노인이 많았고 그들을 위한 극장이 없다는 것에 착안했다”며 2009년 세계 최초의 실버극장이 문을 열게 된 계기를 말했다. 2012년 서대문 화양극장이 재개발로 폐관하며 김 대표는 실버영화관에 더 집중한다. 첫해 6만5000명인 관객은 입소문을 타며 지난해 약 20만명으로 빠르게 늘었다.

실버영화관은 다른 영화관에 비해 외관상 오래돼 보이고 어설프다. 현수막조차도 색이 바랬다. 김 대표는 “어르신들이 영화관을 꾸미는데 돈을 쓰지 말라고 부탁한다”며 “한편으로는 과거 추억을 간직하고 싶어 그런 것 아닐까”라고 답했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 개보수는 꾸준히 진행 중이라고 귀띔했다.

김 대표는 각 지역 실버영화관에 경영비법을 알려주는 업무 또한 진행 중이다. (사진=방인권 기자)
사업은 꾸준히 확장했다. 2012년에는 ‘추억더하기’라는 밥집 겸 찻집을 열었다. 이곳에는 DJ가 상주해 신청곡을 받는다. 2014년에는 노인들을 위한 미용실 ‘뷰티살롱’도 열었다. 2015년에는 ‘촌티서울’이라는 음악강습소도 개업했다.

실버영화관의 티켓가격은 개관 이후로 지금까지 2000원이다. 김 대표는 이 가격을 올리지 않을 거라 강조했다. 대신 그는 “SK(034730)의 사회성과인센티브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며 “성과를 돈으로 환산해서 받는데 지난해 1억원을 지원받았다”고 말했다.

그의 꿈은 이제부터다. 김 대표는 “미래산업에 대한 말이 많지만 고령사회에 대한 대처야말로 그 답”이라며 “앞으로 한국형 사회적 기업의 롤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