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철 한국어촌어항공단 이사장은 최근 취임 100일을 맞아 서울 금천구 공단 본사에서 이데일리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어촌뉴딜300 사업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어촌뉴딜300은 2024년까지 총 3조원을 투입해 300개의 어촌·어항을 현대화하는 것으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해 관광 문화까지 조성하는 일석삼조의 사업이다. 쉽게 말해 더 잘 살고, 더 찾고 싶고, 더 머물고 싶은 어촌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
TV 예능 프로그램인 `삼시세끼`를 통해 잘 알려진 만재도는 어촌뉴딜 사업의 첫 결실이다. 6시간 가까이 걸렸던 운항 시간이 접안 시설 개선과 직항노선 개설로 2시간10분으로 단축됐다. 박 이사장은 “어촌뉴딜은 한국어촌어항공단과 농어촌공사, 지자체가 나눠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우리 공단이 205개 사업 중 114개(46%) 사업을 맡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2019년에 어촌뉴딜에 대한 기본 계획을 수립한 이후 올해 8월 태안 인근에 있는 가이도북항이 완공됐다”라며 “다른 지역도 현재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박 이사장은 이어 “어촌뉴딜 사업지에 가보면 건물 몇 개 지어진 것이 전부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며 “공단이 건물과 같은 인프라를 구축해두면 지자체가 예산을 투입해서 문화적인 요소를 붙이고 또 다른 사업이 더해지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어촌뉴딜 사업이 다른 사업과 차별화되는 점은 주민의 의견을 대거 반영해 상향식(바텀업·Bottom Up)으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일례로 다른 공사는 발주자가 사업 계획을 알아서 설계해 공사를 하달하는 하향식(톱다운·Top-down) 방식이 주를 이룬다. 이는 빠른 의사 결정으로 인해 조기에 사업을 시행할 수 있어서다.
하지만 어촌뉴딜 사업은 비록 느리게 진행되더라도 주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는 쪽에 초점을 맞췄다. 그는 “어촌뉴딜은 생활형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으로 지역에 실제로 거주하는 분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파악해서 계획을 세운다”라며 “이후에도 수시로 의견을 반영해 정책을 수립한다”고 말했다.
|
박 이사장은 “이렇게 하면 지역 주민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거나 갑자기 새로운 요구 사항이 나오면 사업이 진척되기 어려운 측면 있다”며 “이로 인해 사업이 예정보다 지연될 수 있지만 조금 늦어지더라도 최종적으로 주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민들도 적극적이다. 선착장 높이가 높아 불편하니 낮춰 달라거나, 관광객이 보행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가로등을 만들어 달라고 서슴없이 의견을 낸다. 정부에서 톱다운 방식으로 사업을 했을 때는 나오기 어려운 내용이다.
어촌뉴딜300이 마무리된다고 해도 이게 끝이 아니다. 해양수산부는 어촌뉴딜300의 사업 평가를 거쳐 포스트 뉴딜 사업으로 발전시키는 안을 구상 중이다.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오는 2030년까지 1000개의 어촌·어항 개선 작업에 나설 방침이다.
박 이사장은 “어촌뉴딜 사업은 소득을 증대하고 지역을 활성화하는 데까지 연계해 추진해야 한다”며 “향후 어촌체험 마을로 지정해서 예산을 지원하거나, 높아진 접근성을 활용해 귀어·귀촌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