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히트에 제기되는 지배구조 의혹
|
현재 빅히트가 들고 있는 비엔엑스의 지분은 70.9%. 나머지 29.1%의 지분의 소유주가 오리무중이었다. 그런데 최근 몇몇 기관투자가들 사이에선 이 지분의 주인공이 방시혁 의장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빅히트의 감사보고서를 보면, 물적분할로 비엔엑스를 따로 설립한2018년 빅히트의 지분율은 100%였으나 이듬해 71%로 떨어진다. 시장에선 이 사이에 유상증자를 통해 방시혁 의장이 지분을 보유하게 됐을 것으로 추측한다. 빅히트 측이 이 과정에 대해 공식적으로 언급한 적은 없다.
만약 의혹이 사실이라면 빅히트 지배구조에는 문제의 소지가 있다. 지난해 이슈가 됐던 에스엠(041510)엔터테인먼트와 라이크기획과의 문제와 비슷한 구조기 때문이다. 이수만 회장이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라이크기획은 음악 자문 명목으로 매년 에스엠으로부터 수익을 챙겨가는데, 이를 두고 KB자산운용 등은 ‘일감 몰아주기’라며 비판한 바 있다. 만약 비엔엑스 지분 29.1%을 가진 게 방시혁 의장이 맞다면, 빅히트의 경우에도 해당 지분만큼 대주주가 회사의 이익을 따로 챙겨갈 수 있는 구조가 짜여있다고 볼 수 있다. 아직 비엔엑스가 이익을 내진 못하고 있어도, 빅히트의 주장처럼 향후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하게 된다면 언제든 이익편취의 문제가 지적될 수 있는 구조인 셈이다.
|
이 관계자는 빅히트가 이러한 문제를 이미 인지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 기준은 총수일가 지분이 30%를 넘을 때로, 30%는 일종의 ‘레드라인(넘지 말아야 할 선)’으로 여겨진다. 때문에 빅히트가 아직 대기업집단이 아니라 할지라도 지분율을 아슬아슬하게 30% 이하로 맞춰 논란의 여지를 배제했을 것이란 얘기다.
그는 “당장 대기업집단이 아니어서 법적으로 문제가 되진 않는다 해도 도덕적으론 문제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빅히트도 알기 때문에 지분을 30%를 조금 못 미치는 수준으로 가져갔을 것”이라면서 “다만 공정위의 규제 대상이 ‘총수일가 지분율 20% 초과일 경우’로 점점 넓어지고 있어 언제든지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빅히트가 지분을 100% 가지는 게 깔끔하다”고 지적했다.
◇ 빅히트 측은 “답변 불가” 고수…시장은 ‘답답’
빅히트 측은 이 사안에 대해 원칙적으로 모두 ‘답변 불가’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비엔엑스의 지분을 누가 갖고 있냐는 질문에 대해 빅히트 측은 “자본시장법에 따라 기업공개(IPO) 기간 중에는 투자설명서 이외의 내용은 말할 수 없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김중동 CIO에게도 연락을 취했지만 “언론 담당이 그렇게 대답했다면 그것이 회사의 정책이므로 언급이 불가하다”며 “기관 투자설명회에서도 인사말만 하기 때문에 잘 알지도 못한다”고 말했다.
빅히트의 과도한 비밀주의에 시장관계자들은 찜찜하다는 반응이다. 기초적인 정보공개도 안될 뿐더러 제대로 된 소통도 없다는 것이다. 이제 곧 상장을 하는 회사인데도 불구하고 시장과 소통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IR 리스크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애널리스트 역시 “애널리스트를 위한 설명회가 딱 한 번, 그것도 1시간 동안만 이뤄졌을 뿐 이후 회사와 단 한 번의 연락도 이뤄지지 않았다”며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기본적으로 팬들을 상대로 하는 곳인 만큼 스케줄 공개 때문에 여러 정보 공개를 꺼리는 곳들도 있지만 이렇게까지 기본적인 소통이 되지 않는 상장사는 없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기관투자자 역시 “빅히트처럼 상장 전부터 연결 재무제표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지 않는 등 잡음이 많은 회사는 흔치 않다”며 “상장은 말 그대로 기업을 공개하는 것이니 만큼 시장과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장사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