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는 지난 20년 동안 자산운용사들의 핵심 먹거리로 부상했지만, 넘어야 할 산도 높다. 단기 베팅 중심의 투자문화에서 벗어나 ‘질적 성장’이 필요하단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올해 들어 냉각된 증시 환경이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ETF 상장 첫 10년은 정체기였지만, 다음 10년은 레버리지·인버스 매매 기반 성장을 이뤘다. 코로나19 이후엔 비대면 거래가 급속도로 활성화됐고, 연금을 통한 장기 투자 수요로 급성장을 했다는 평가다. 글로벌에선 지난 8월 기준 상장종목수 6위, 순자산총액 12위, 일평균거래대금 3위로 발돋움했다.
|
주요 운용사들의 전망을 종합하면 10년 뒤인 2032년 국내 ETF 시장 규모는 약 200조~300조원으로 예상된다. 미국 ETF가 주식시장 시가총액 대비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해 추산한 결과다. 지난 9월 말 기준 코스피 시가총액 대비 비중도 4.5%(지난해 3.4%)로 꾸준히 늘고 있다.
20년 전 국내에 ETF를 도입한 주역으로 꼽히는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대표는 “미국 ETF는 시총의 10% 초반대로 국내도 3~4배 더 성장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최창규 삼성자산운용 ETF컨설팅본부장은 “10년 후 국내 ETF의 시총 대비 비중은 8%, 20년 후엔 12%를 예상한다”고 했다.
글로벌에서도 공모펀드의 ETF 전환이 가속화되는 흐름이다. 미국 디멘셔널, 기네스 앳킨슨 등 중소형 자산운용사는 공모펀드를 ETF(액티브형 포함)로 전환했다. 씨티그룹은 21조달러인 미국 공모펀드 시장이 10년 내 대부분 ETF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ETF 출시 운용사는 22곳으로 지난해 이후에만 7개가 진입했다. 지난 9월 말 공모펀드 대비 ETF 자산 비중은 27.5%다. 10년 전(7.9%)과 비교하면 20%포인트가량 늘었다.
공급이 늘어남과 동시에 연금계좌를 통한 투자 수요가 큰 성장 발판이 됐다는 평가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소득공제·과세이연 등 절세 효과에 연금 ETF 투자가 늘었고, 더욱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운용업계는 무엇보다 ETF의 자산배분 역할에 주목한다. 배 대표는 “자산배분 시장을 보면 전통 주식·채권 펀드를 ETF로 대체했고, 4~5년 새 존재감을 키운 타깃데이트펀드(TDF), 외부위탁운용관리(OCIO)로도 넘어가고 있다”며 “장기·분산·저비용 투자가 가능한 ETF에 대해 자산배분의 핵심 성장 기반인 연금을 주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향후 ETF를 활용한 자산배분 솔루션 플랫폼도 염두에 두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훗날 예컨대 ‘내집마련’, ‘은퇴설계’, ‘학자금’ 등 마련을 위한 자산배분형 ETF가 나올 수 있다고 예상했다. 김성훈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수백개의 ETF 상품을 활용해 시장에 맞게 포트폴리오로 구성해 상품·자문 등이 예상된다”며 “단순히 테마 지수 추종이 아니라 ETF 안에서 멀티에셋 투자가 가능한 단일 ETF가 나올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운용센터장은 “결국 자산배분은 기관투자가들만의 운용전략이었는데, 개인의 수요도 커지면서 ETF가 살아남을 수밖에 없다”며 “3~4년 전부터 확대된 해외 투자형은 기존 주식형 중심에서 채권, 대체자산 관련 규모가 커질 것이고, 궁극적으로 이뤄질 가상화폐 관련 시스템이 도입되면 실제 상품화는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변동성 장세도 자산배분 수요를 높일 전망이다. 운용계는 채권형 성장도 전망된다. 아시아와 더불어 미국 등 해외 채권까지 국가 범위를 넓혀가기 위한 움직임이 분주하다. 금정섭 KB자산운용 ETF마케팅본부장은 “저금리 시대엔 채권형 투자 매력도가 없었는데, 2024년까진 채권형 ETF 성장이 두드러지고 상품 공급도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현 센터장은 “기관투자가들의 채권형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ETF를 통해 적은 인력으로도 효율적인 자산배분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 “‘질적 성장’ 변곡점…투자문화 성숙해야 자금도↑”
매크로 악재에 비우호적 투자환경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ETF 시장이 ‘질적 성장’으로 가기 위한 변곡점을 맞았다는 평가도 나온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대표는 “앞으로 ETF 방향성을 연금·글로벌·메가 트렌드로 잡고 있다”며 “단기 성향의 상품들이 우후죽순으로 나오고 있는데, ETF는 장기 투자를 함께 할 철학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ETF 시장처럼 적립투자식으로 성숙된 장기 투자 문화가 이어질지, 단기 투자 중심의 문화가 그대로 남을지 굉장히 중요한 변곡점으로 적합한 상품 공급과 투자자 교육이 필요하다”며 “언젠가 끝날 약세장 경험을 기회 삼아 좋은 자산을 장기로 가져가는 게 높은 수익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성훈 본부장은 “투자자들에게 ETF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일방향이 아닌 상호 소통을 강화해 건강한 시장을 조성해나가는 것은 운용사의 몫”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