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충주 등 6곳을 ‘기업도시’로 선정(작년 7월)한 지 1년이 지났지만, 본지 확인 결과 총 43개였던 참여 기업 숫자가 늘기는커녕 1년 사이 34개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참여도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기업도시가 자칫 땅값만 올리고 참여 기업 수익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업이 낙후지역 땅을 사들여 개발하는 6개 기업도시를 통틀어 총 3217만평의 땅에 사업비만 17조원이 들어가는 대형 사업이다.
◆남은 업체도 건설사·은행이 대부분
첨단의료단지를 짓기로 한 강원 원주의 경우 현재 건설사(롯데건설·경남기업)와 금융기관(국민은행·농협중앙회)만 참여 업체로 남았다. 충북 충주도 L화학 등 2개사가 작년 말 신용등급이 투자적정등급(BBB) 밑으로 떨어져 참여 업체에서 빠지는 바람에 동화약품 한 곳을 빼고 모두 건설사(포스코건설 등)만 남았다.
자칫 ‘부동산 개발업’으로 변질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기업도시인 무주의 땅값은 작년 7월부터 올 6월까지 12% 올라 같은 기간 전국 평균상승률(5%)의 2배를 넘었다.
건교부 손병석 복합도시기획팀장은 “기업 참여 부족은 개발계획이 안 나온 데다 초기 자금 부담이 크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나 현대경제연구원 홍순직 수석연구위원은 “기업들이 사업성에 의문을 갖고 있기 때문이며 여기엔 입지 탓이 크다”고 했다. 기업들은 수도권 주변을 원했지만 수도권이 빠지면서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작년에 ‘균형 발전’ 논리를 내세워 수도권·광역시를 기업도시 대상에서 뺐다. 중앙대 허재완 교수는 “정부가 균형이란 모토에 사로잡혀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고 했다.
◆관광레저형은 모두 ‘골프장’
중복 투자 우려도 나온다. 기업도시 6곳 중 충남 태안 등 3곳이 관광레저형이고, 모두 골프장을 짓겠다는 계획이다. 홍순직 수석연구위원은 “인천 용유·무의도 관광단지와 시화지구에도 대규모 골프장을 지을 예정”이라며 “수요가 뒷받침될지 의문”이라고 했다.
기업도시는 건설사가 개발한 땅에 업체들이 분양받아 들어갈 공산이 커졌다. 서울대 최막중 교수는 “이렇게 되면 산업단지와 큰 차이가 없어 규모 조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키워드] 기업도시 기업이 땅을 사들여 직접 개발하는 자족(自足)형 도시다. 개발된 땅을 기업이 분양받는 산업단지와 다르다. 2003년 전경련이 기업도시 개발을 제안, 정부가 다음해 특별법을 만들었다. 이후 기업도시 유치를 위해 지자체들이 나섰고, 정부는 작년 시범사업지 6곳을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