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매·난·국·죽` 군자의 기상에 취하다

경향닷컴 기자I 2011.05.12 07:17:33

간송미술관 40주년 기념 `사군자 대전`

[경향닷컴 제공] ‘수구여병(守口如甁)하고 방의여성(防意如城)하라(입에서 나온 말은 주워담을 수 없으니 신중하고, 욕망과 불순한 의도를 막기 위해 마음의 성을 굳건히 하라)’. 세상에 지쳐 <명심보감>의 가르침을 떠올릴 때 사군자의 고고한 정신을 함께 되뇌면 고단한 삶의 가속도를 늦출 수 있을까. 매화의 강함과 난초의 올곧음, 국화의 향기와 대나무의 꼿꼿함이 빚어내는 충의와 절개, 신의와 효행의 주문을 음미해보자.

한국 최초의 사립미술관인 간송미술관(관장 전영우)이 전시 40주년 기념 ‘사군자 대전’을 오는 15~29일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에서 마련한다. 1966년 개관 후 71년 겸재 정선 작품으로 첫 전시를 마련한 간송미술관은 지난 40년 동안 매년 봄과 가을, 두 차례씩 보름간 전시주제별 소장품을 일반에게 무료로 공개해왔다. 이번 80번째 전시는 국내 사군자 전시 중 역대 최대 규모다. 세종대왕의 현손인 탄은 이정(1554~1626)부터 옥봉 스님(1913~2010)에 이르는 63명의 그림 108점이 걸린다. 임진왜란(1592) 이후의 작품들이 총망라됐다.

이정의 ‘우죽(雨竹)’
최완수 간송미술관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연구실장(69)은 ‘걸작 베스트3’로 탄은 이정, 수운 유덕장(1675~1756),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작품을 꼽았다. 또 어몽룡(1566~1617), 심사정(1707~1769), 강세황(1713~1791), 이하응(대원군, 1820~1897) 등을 추가한다. “딱 세 작품만 추천해달라”는 기자의 청에도 조선의 문사들을 쉬지 않고 꼽는다. 하나같이 귀하고 아까워 누구 하나 제외시킬 수 없다.

“문사 배출이 본격화된 고려시대부터 군자의 기상을 매, 난, 국, 죽의 사군자 그림에 담았는데 잦은 전란과 보존 소홀로 조선 전기까지의 작품은 접하기 힘들어요. 이번 전시도 임란 2년 후인 1594년 이정이 그린 조선 후기 작품으로 시작됩니다.” 간송미술관의 ‘얼굴’ 최 실장은 불굴의 군자 기상을 누누이 되짚고, 조선의 문사들과 이 땅 이 시대의 정신세계를 견주며 군자 정신의 상실을 안타까워했다.

최고의 묵죽화가로 꼽히는 탄은 이정은 검은 비단에 금가루로 그린 ‘우죽(雨竹)’ 등 6점을 통해 강인한 민족성을 전해준다. 특히 거센 바람을 견디는 대나무 네 그루를 그려 관람객이 바람의 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풍죽(風竹)’은 “탄은의 묵죽 가운데 최상의 품격과 기량이 돋보이는 걸작”으로 “역대 제일의 묵죽명인이 그린 우리나라 최고의 묵죽화”(백인산 간송미술관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상임연구위원)로 극찬받고 있다.

유덕장의 ‘통죽(筒竹)’
탄은 다음으로 대나무를 잘 그린 유덕장의 ‘설죽(雪竹)’은 한파에도 푸른 댓잎을 세밀하게 묘사한 명작이다. 진경산수화의 영향을 받아 채색작업을 시도한 점이 돋보인다. 난그림으로 유명한 추사 김정희는 ‘산상난화(山上蘭花)’ 등 3점의 서화를 통해 곧은 절개를 강조했다.

묵매의 일인자 어몽룡이 그린 이른 봄의 매화그림은 불굴의 절개와 강직한 기개를 보여준다. 겸재의 제자 심사정이 그린, 역경과 시련을 극복한 국화는 가장 오래된 국화작품으로 추정된다. 풍속화가 김홍도(1745~1856)의 매화와 대나무도 있다. 정조의 총애를 받던 화원 김홍도는 문사가 아니었기 때문일까. ‘군자 기상이 살짝 부족한’ 회화적 사군자를 그렸다. 오달진(1597~1629)의 묵매화는 병자호란 때 그려진 ‘독한 그림’이다. 툭 부러질지언정 절대 휘지 않는 대나무 형상으로 자신의 충정을 묘사했다. 대원군 이하응은 추사의 난그림과 서체를 따라 그렸다. 항일운동으로 투옥됐던 김진우(1883~1950)의 묵죽은 칼처럼 날카롭고 뾰족한 모습으로 저항과 애국심을 전한다. 문사들은 산수화보다 간단히 그릴 수 있고, 단아하고 곧은 필획으로 선비 기상을 반영한 사군자를 필수교양과목으로 꼽은 셈이다.

번잡함을 뒤로하고 300~400년 전 사람들의 그림과 만나는 간송의 공간은 가쁜 호흡을 조절하며 인문학적 심상을 보듬는 소통의 현장이다. 다음 전시는 오는 10월에 열린다. (02)762-0442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