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자동차와 관련해 추가 관세 면제가 시행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지난 11일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상호관세 대상에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제품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해 트럼프 행정부 고위 당국자들이 나서 국가안보와 직결된 반도체 및 전자제품은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를 거쳐 품목관세를 부과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추가 면제 자체로 시장에선 긍정적인 변화로 여겨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도 지난 3일부터 시행된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로 압박 받는 완성차 제조업체들에 호재로 해석됐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의 해당 발언 이후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 주가가 4%대 상승세를 보였다.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또한 오는 5월 3일 이전에 발효될 예정이다. 완성차 제조업체들은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가 비용을 증가시키고 수익성 악화와 일자리 감축으로 이어져 미국 자동차 제조를 재건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목표와 거리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적어도 초기에는 관세 부담의 상당 부분을 부담할 것으로 예상되며 많은 부품 제조업체들의 수익성이 이미 악화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의 발언은 자동차 회사들에 안도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의 관세 계획에 불확실성만 가중시키는 것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