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저점이던 4월 중순 3.43%보다는 24bp(1bp=0.01%포인트) 올랐다. 한때 기준금리(3.50%)를 밑돌기도 했지만 어느새 기준금리를 다시 웃도는 수준까지 됐다.
CD금리가 오르고 있는 이유는 통화정책의 전환(피벗)이 쉽게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심리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이달초 기준금리를 25bp 올리면서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마무리될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어 추가 상승이 가능하다는 입장도 지속해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미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역전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경우 한국도 금리를 낮출 수 없다는 인식이 시장금리에도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CD금리란 은행이 단기 자금 조달을 위해 CD를 발행해 유통시장에서 거래될 때 적용되는 금리다. 시장금리와 연동한 대출이나 은행간 자금 이전, 금리 스와프(IRS) 거래의 기준으로 활용된다.
CD금리가 오르게 되면 당장 영향을 받는 것은 CD금리를 준거금리로 활용하는 일부 은행의 기업 대출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 입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가장 좋은 것은 금리 변경 시기가 빨라 자금 운용과 조달 비용의 괴리가 가장 적은 것인데 CD금리는 만기가 3개월로 짧은 편이어서 사용하고 있다”며 “최근에는 개인 신용대출 등에서 CD금리를 적용하는 경우는 별로 없고 단기 자금을 조달하려는 기업 대출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D금리가 신용대출 같은 가계대출에 쓰이지 않는 이유는 CD금리의 발행 규모 자체가 예전보다 현저히 줄어 대표성을 가지기 힘들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 전언이다. CD금리는 과거 2012년에 은행 담합 논란이 벌어져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조사를 벌이기도 했다. 은행이 담합해 시장에 개입하면 CD금리를 조정할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이후 은행 대출금리를 산정할 때 대표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개발됐고 CD금리는 발행·유통이 크게 줄어들게 됐다.
CD금리가 가계대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은행채 등의 단기물 금리가 상승하는 점 또한 주목해야 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 우려에 단기물 위주로 금리가 상승하는 추세여서 단기적으로는 주택담보대출 등 대출금리 또한 오를 여지가 있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