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개통 연기에 뿔난 김포시민들…매매거래도 '뚝'

김기덕 기자I 2019.07.16 04:00:00

지난 13일 한강신도시총연합회 항의 집회
거래 끊기고 일부 실망 매물도 나와
"시민과 추진상황 공유…두달 안에 개통 목표"

지난 13일 경기도 김포시 구래동 문화의 거리에서 시민들이 김포도시철도 개통 연기와 관련해 항의 집회를 열고 있다.(한강신도시총연합회 제공)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김포골드라인이요? 오히려 김포 부동산시장의 발목을 붙잡는 족쇄가 되고 있습니다. 도시철도 개통 연기 소식이 전해진 이달 들어서는 하루에 매수 문의가 1~2통도 안 걸려 올 정도로 매일 파리만 날리고 있는 상황입니다.”(김포시 장기동 W공인중개업소 관계자)

경기도 김포시 부동산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서울지하철 생활권에 편입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자 지역 내 최대 개발 호재로 꼽혔던 도시철도가 두 차례나 연기되면서 되레 주택시장에 역풍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포시 주민들은 철도 개통 지연에 따른 책임과 보상 등을 요구하며 단체 행동에 나선 상황이라 향후 후폭풍이 상당할 전망이다.

경기도 김포시민들로 구성된 한강신도시총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13일 김포시 구래동 문화의 거리에서 도시철도 정상 개통을 요구하는 항의 집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연합회는 △2차 개통연기에 따른 정하영 김포시장 및 선출직 공무원 사퇴 △주민소환제 △집단 손해배상 등을 요구했다.

총연합회 관계자는 “이미 올 상반기 주행안전성 시험, 시운전 등을 했을 때는 ‘차량 떨림’이 없었는데 개통이 한 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안전성 추가 검증을 이유로 연기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가 없는 처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지옥철로 불리는 지하철 9호선 혼잡을 고려, 9호선 증량 시기에 맞춰 일부러 개통을 미뤘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3일 경기도 김포시 구래동 문화의 거리에서 시민들이 김포도시철도 개통 연기와 관련해 항의 집회를 열고 있다.(한강신도시총연합회 제공)
당초 오는 27일 개통이 예정됐던 김포도시철도는 김포시 양촌읍에 위치한 김포한강차량기지에서부터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김포공항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23.67㎞의 노선이다. 김포대로 외에는 서울과 연결되는 철도가 수도권 중 유일하게 없는 김포시에는 20년 간 오랜 숙원사업이었다. 다만 지난해 11월 건설 공사 지연, 올 7월에는 안전 검증을 이유로 개통이 지연돼 역 주변 일대 부동산시장의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김포도시철도가 지나는 운양역 인근 S공인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도시철도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역 인근 아파트는 1억~1억5000만원 가량 시세가 꾸준히 올랐는데 최근 서울에서 이사 수요가 생각보다 많지 않아 가격 상승세를 멈춘 상황”이라며 “철도 개통 지연으로 실망 매물도 조금씩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주민들은 도시철도 교통분담금을 돌려달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한다. 김포시 운양동에 살고 있는 김모씨는 “지난 2017년 역 주변 아파트를 살 때 교통분담금 형태로 1200만원을 냈는데 개통도 안되고 매년 희망고문만 시키고 있다”며 “교통망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서울과 더 가까운 인근 지역에 3기 신도시가 나온 것도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말했다.

김포시 관계자는 “시민 검증단을 모집해 개통 때까지 추진 상황을 공유하고 조속히 개통을 앞당길 계획”이라며 “늦어도 두 달 안에는 운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대규모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한강시네폴리스 사업 추진이 본궤도에 오른데다 평화경제자유구역 추진, 추후 교통망 확충 등 호재를 감안하면 향후 김포 주택시장이 달아오를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 4월 김포 아파트 매입자의 거주지별 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서울권 이주자들의 움직임이 확인되고 있다. 전체 1967건의 거래 중 김포 내에서 이동이 1088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지만, 서울에서 거래를 한 경우도 454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 2월(195건) 보다 2배 이상, 지난 3월(266건)과 비교해도 약 200건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김포시 풍무동 B공인 관계자는 “현재 김포의 아파트 매매가는 서울 마곡지구의 전세가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서 “상대적으로 주거비 부담이 적기 때문에 이주를 생각하는 서울권 출퇴근 수요자들의 유입되면 가격 상승할 여력은 아직 많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