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에도 국내 대표 주택으로서 아파트 위상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52%는 ‘10년 뒤 주택시장도 지금처럼 아파트 위주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아파트에서 변형된 형태의 공동주택 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대답도 40%를 차지했다. 틈새상품으로 단독주택을 주목한 응답자는 4%에 그쳤다.
하지만 사업 방식의 변화는 불가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공급하는 건설 위주의 주택사업은 인구와 주택 수요 감소, 선호도 변화 등으로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보다 기존 주택의 개량과 보수, 소규모 단지형·블록별 특성화 개발, 임대 산업 등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새롭게 부상할 주택사업 분야로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 가까운 44%가 ‘기업형 임대사업’을 꼽았다. 김동수 한국주택협회 진흥실장은 “국내 주택시장이 성숙기에 도달해 주택산업의 축이 공급에서 서비스 관리로 이동하는 추세이고 임대시장의 확대로 기업형 임대사업이 유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백종탁 삼성물산 상무는 “단순 시공을 넘어서 프로젝트 기획과 관리·운영을 함께 하는 밸류체인(value chain) 사업 방식이 주택시장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건설기업이 소규모 테마형 아파트나 고급 의료서비스가 결합된 실버주택 등 새로운 유형의 집을 짓고 분양 대신 임대서비스를 제공해 운영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이 도입될 수 있다는 얘기다.
도시재생특별법 등을 통해 변화가 예고된 도심 개발사업도 신시장의 한 분야를 차지할 전망이다. 유망 주택산업을 묻는 같은 질문에서 리모델링과 친환경 주택사업은 각각 전체 응답의 33%, 19%를 차지했다. 김규정 우리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은 “(대규모 재개발·재건축이 어려워져) 개별 주택의 주거시설을 정비하는 방법으로 부분 리모델링 시장이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변창흠 세종대 행정학과 교수는 “대규모 정비사업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면서 가로주택정비사업 유형의 소규모 정비, 지주 공동사업 형태의 주택 정비사업이 보편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