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관절증 환자 3명 중 1명이 60대, 해결방법은 없을까?

이순용 기자I 2021.05.29 08:11:49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국내에서 무릎관절과 관련한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 3명 중 1명은 60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4월 15일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바탕으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 무릎관절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는데 2019년 기준 무릎관절증 환자는 60대가 97만명으로 전체 환자의 33%를 차지했다. 70대는 80만3000명, 50대는 58만5000명으로 그 수가 많았지만 60대에 미치지는 못했다. 40대 이하로는 40대 15만4000명, 30대 4만6000명, 20대 2만6000명, 10대 9249명으로 그 수가 크게 감소했다.

무릎관절증 대다수를 60대가 차지하는 것을 설명하기는 어렵지 않다. 바로 그 때부터 노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무릎관절증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퇴행성 관절염이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사이에 있는 연골이 닳으면서 발생한다. 연골이 닳는 데에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그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노화다. 노력 여하에 따라 연골의 노화를 지연시킬 수는 있다고 쳐도 노화 그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 무릎을 사용하다 보면 닳는 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그런데 연골은 다른 신체부위와 달리 한번 닳으면 저절로 재생이 되지 않는다. 무릎관절증이 노화에 더 치명적인 것도 이 때문이다. 그래서 전문가들이 젊었을 때부터 무릎을 과하게 사용하는 운동이나, 업무를 지양하라고 조언한다.

그런데 한번 닳아진 연골은 그대로 끝나버리는 걸까?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60대 무릎관절 환자들은 그대로 고통을 감내하며 살아야 하는 걸까. 과거까지는 ‘그렇다’고 답할 수밖에 없었다. 닳은 연골을 어찌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요새는 다르다. 의료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연골을 ‘재생’하는 방법이 생겼기 때문이다.

‘무릎연골 재생치환술’ 수술에 경험이 많은 연세건우병원 조승배 원장은 “과거에는 무릎에 인공 보형물을 덧대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부작용이나 후유증이 있을까봐 고민하거나 아니면 수술 자체에 대한 부담 때문에 수술을 꺼리고 통증을 달고 살았다”고 설명했다.

조승배 원장은 그러면서 “최근에는 손상부위만 부분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술식이 발전하여, 말기의 경우라도 자신의 정상관절과 주변인대조직을 어느 정도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덧붙였다. 무릎 인공관절 대체술이 과거처럼 부담이 크지 않다는 의미다.

조 원장은 “이런 수술은 수혈량과 절개부위를 최소화 하기 수술 부담도 적을 뿐만 아니라 부작용도 최소화 하는 방법”이라며 “실제로 의료선진국인 미국에서는 무릎인공관절치환술이 연간 100만건 정도 시행될 정도로 보편화 됐고 한국도 점차 수술사례가 늘고 있다. 2019년에는 약 7만 7천 건이 수행되었는데 대부분 60세 이상 고령층이었다”라는 설명했다.

조 원장은 수술 방식이 크게 개선됐다면서도 여전히 ‘까다로운 수술’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인공관절전치환술의 경우 금속 보형물과 플라스틱 보형물이 함께 들어가는 까다로운 수술”이라며 “무조건 부작용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되지만 가급적 경험이 많은 병원을 찾는 것이 안전한 것도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