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이민 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는데도, 한국인들의 인식은 단일민족 사회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외국인들이 이웃 주민으로 존재하는 한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이들을 흔쾌히 받아들이고 더불어 살 수 있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
하지만 다문화가정, 외국인근로자, 유학생 등 국내에서 체류 중인 외국인들을 위한 제도나 사회 인식은 갈 길이 멀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이민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문제 제기는 2000년대 후반부터 지속 제기돼 왔지만 아직 별다른 진전이 없는 게 현실이다.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체류외국인 수는 올해 225만명을 넘었다. 총인구(5126만명) 대비 4.4%에 달하는 규모다. 충청남도(212만명)를 넘어 대구광역시(247만명) 인구에 육박하고 있다. 앞으로도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외국노동력 유입과 국제결혼 증가로 국내 체류외국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체류외국인 수가 2030년에는 5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한다. 한 집 건너 사는 이웃주민으로 외국인을 봐야하는 시대가 성큼 다가온 것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와 사회 모두 이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 특히 이민정책을 총괄하는 정부 컨트롤타워(Control Tower)가 없다보니 부처 간 업무 중복, 예산 낭비 등이 여전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이 나올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혜순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정부내 이민청 같은 조직이 신설되면 총괄 역할을 맡아 외국인관리 정책을 통합적·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