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들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로 강남 재건축 단지 등 ‘돈 되는’ 아파트 한 채를 잡아 세금을 피하려는 수요가 늘면서 집값이 뛰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몇 년간 돈이 묶이더라도 재건축 완료 후엔 자산 가치가 최소 2억~3억원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에 강남 재건축 매물을 찾는 수요가 적지 않다고 현지 부동산 중개업소들은 전한다.
하지만 풍부한 유동성도 집값을 끌어올리는 데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도 많다. 남영우 나사렛대학교 국제금융부동산학과 교수는 “은행권을 통한 자금 조달 문턱이 높아지긴 했지만 시중에 이미 풀린 유동자금이 많고 금리도 아직 낮은 수준”이라며 “주택을 구입하겠다고 마음 먹은 실수요자라면 충분히 자금 조달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곽창석 도시와 공간 대표는 “10억원을 넘는 강남권 아파트를 매물이 없어서 사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시중 유동성이 풍부하고 고액 연봉을 받은 전문직 종사자나 직장인 실수요도 많아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먹히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앞으로 지속될 지에 대해서는 전문가 의견이 엇갈린다. ‘거래 감소 속 호가 상승’은 실제 거래가격 하락의 전조라는 우려섞인 시각이 있는가 하면 집값 대세 상승의 징조라는 분석도 나온다.
박원갑 위원은 “주택시장에서 호황과 불황, 혹은 건강도를 보여주는 지표는 거래량”이라며 “거래가 동반되지 않은 시장은 구조적으로 허약한 체질인 만큼 집값 상승세는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언 미래에셋대우 수석부동산컨설턴트도 “시장 참여자들이 ‘전국구 투자처인 강남 집값이 떨어지겠냐’며 버티고 있지만 내년부터 시행될 대출 규제 강화로 수요는 점차 줄고,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로 매물이 늘면 매매가격도 조정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공급 부족이라는 근본적인 시장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집값을 잡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도 만만찮다. 함영진 센터장은 “서울은 향후 몇년 간 입주 물량이 많지 않다”며 “공급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서울 주요 지역 집값은 오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교언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가 곧 발표할 주거복지 로드맵에서 대규모 임대주택 공급 확대나 주택 임대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을 획기적으로 담지 않으면 중장기적으로도 집값 잡기에 실패할 것”이라고 말했다.
|